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중점연구/고전자료의 현대화 연구
과제코드 AKSR2018-J06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역사지명사전 개발 및 그 응용연구를 위한 기초연구
  • 영문 : The Development and Academic Application of the Korean Historical Place Name Dictionary
연구책임자 정치영
공동연구자
  • 조융희 / 본원 / 교수
  • 이강한 / 본원 / 교수
  • 조영준 / 본원 / 부교수
  • 조현범 / 본원 / 부교수
  • 안예리 / 본원 / 조교수
  • 김태환 / 본원 / 책임연구원
  • 김종혁 / 고려대학교 / 연구교수
연구기간 2018-09-04 ~ 2018-12-20 연구형태 공동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본 정책연구과제는 한국학 관련 각종 문헌 자료에 수록된 지명들에 대한 학제적 연구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그 성과를 바탕으로 디지털한국역사지명사전(가칭)’을 제작하여 융합적인 연구를 촉발하기 위한 연구실행안을 수립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및 내용

본 연구의 내용은 크게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각 학문분야에서 이루어진 지명 연구 동향을 검토하였다. 둘째, 그 동안 지명 연구에서 이용해 온 원자료와 데이터베이스화의 대상이 될 원자료를 검토하였다. 셋째, ‘디지털한국역사지명사전구축의 설계안을 수립하였다. 넷째, 지명 연구에 관한 연구주제를 개발하였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연구 개요

1. 연구 목적

2. 연구의 필요성

3. 연구 대상

4. 연구의 독창성

 

. 선행연구검토

1. 지명 연구

2. 지명사전류

3. 국내외 역사지명 데이터베이스

 

. 지명 데이터베이스 및 응용연구의 원자료 분석

1. 사전 및 자료집류

2. 지리지 및 지도류

3. 사서류

4. 문집류

5. 종교문헌류

6. 여행기류

7, 잡지, 신문류

 

. 한국역사지명사전 구축 방안

1. ‘한국역사지명사전구축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설계의 기본 개념

2. ‘한국역사지명사전데이터베이스 구축 전략

3. 한국역사지명사전 데이터베이스 설계안

 

. 응용연구 주제 개발

1. 조선시대 지명의 사회경제사적 고찰

2. 한글 표기 지명 연구

3. 지명을 통한 지역성 고찰

4. 지명검토를 활용한 고려시대 지역정치 연구

5. 한국 천주교 문헌 소재 지명 연구

6. 여행기류 역사지명을 활용한 연구

 

. 실행 계획안

1. 연차별 연구수행 일정

2. 연구진 구성

3. 연구비 예산

 

. 참고문헌

 
연구결과

첫째, 연구의 방향 설정과 세부적인 내용을 구성하기 위해 수행한 선행연구 검토에서는 지명과 관련된 논문, 단행본, 고문헌 등 모두 1,000여 종을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국내외의 지명사전과 각종 지명 관련 데이터베이스도 검토하였다.

둘째, 역사지명사전에 그 내용을 담고, 응용연구의 자료로 사용할 수 있는 원자료들을 검토하였다. 원자료는 사전 및 자료집류, 지리지 및 지도류, 사서류, 문집류, 종교문헌류, 여행기류, 잡지 신문류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셋째, 디지털사전으로 제작될 한국역사지명사전의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한국역사지명사전은 기존의 지명사전과 달리 지명의 시공간적 변화를 추적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지향하므로, 이에 맞는 설계안을 제작하였다.

넷째, ‘한국역사지명사전을 활용한 응용연구의 주제를 개발하였다. 참여 연구자의 연구 분야의 특성을 살리되, 학제적이고 통섭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연구주제를 5개년에 걸쳐 개발하였다.

 
참고문헌

????고장이름사전????, 11, 2002, 과학백과사전출판사.

국토지리정보원 편, 2008~2013, ????한국지명유래집(6)????, 국토지리정보원.

김순배, 2012, ????지명과 권력: 한국 지명의 문화정치적 변천????, 경인문화사.

동아시아역사연구소 편, 2011, ????경기도역사지명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송호열, 2006, ????한국의 지명 변천????, 성지문화사.

신종원 외, 2010, 필사본 조선지지자료 경기도편연구, 경인문화사.

이병운, 2004, ????한국 행정지명 변천사????, 이회문화사.

????조선지명편람????, 10, 2002, 사회과학출판사.

????조선향토대백과????, 20, 2004, ()조선과학백과사전출판사()평화문제연구소.

천소영, 2003, ????한국 지명어 연구????, 이회문화사.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8, ????지명의 지리학????, 푸른길.

 

Gregory, I.N.·A. Geddes, 2014, Toward Spatial Humanities: Historical Gis and Spatial History, Indiana University Press.

Gregory, Ian N, 2003, A Place in History: A Guide to Using GIS in Historical Research, Oxbow Books Ltd.

Gregory, Ian N.·Paul S. Ell, 2007, Historical GIS: Technologies, Methodologies, and Scholarship,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김기혁, 2013, “북한의 지명관리 정책과 연구 동향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9(1), 1430.

김선희, 2008, “五萬分一地形圖에 나타난 20세기 초 한반도의 지명 분포와 특성,” 대한지리학회지, 43(1), 87103.

김종혁, 2006, “구한말한반도지형도의 지명테이터베이스의 구축과 활용,”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6 심포지움자료집, 93100.

김태영, 2015, “농촌자연마을의 지명어와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 - 통합청주시 미원면을 중심으로,” 농촌건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17(4), 2532.

류명환, 2017, “조선 후기 고지도의 사찰지명 변화 연구 : 대동여지도를 중심으로,” 문화역사지리, 29(3), 2539.

박병철, 2011, “龍飛御天歌正音 表記 地名漢字語 地名對立, 變遷에 관한 硏究-쇠병라: 淵遷 金遷을 중심으로,” 국어학회, 60, 332.

박성대, 2012, “지리적 특성을 담고 있는 지명과 풍수의 연관성,” 한국민족문화, 45, 32760.

심보경, 2003,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활용한 지명 어휘 데이터베이스의 한 모색,” 한국언어문학, 51, 14161.

엄경흠, 2017, “부산 지역 신선 관련 지명의 형성에 대한 연구 -한국 신선사상의 수용 및 변화와 관련하여-,” 동양한문학연구, 48, 199221.

이범관 김봉준, 2008, “지명분쟁의 예방과 해결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24(2), 26779.

이영식, 2016, “영평정 지역 <아라리>의 지명 구성 양상,” 한국민요학, 47, 15782.

이진교, 2015, “마을 지명과 공간의 전승지식,” 民俗硏究, 31, 12564.

조강봉, 2009, “‘· 형 지명의 어원 연구,” 지명학, 15, 179216.

최석주, 2003, “북한의 지명연구,” 한국동북아논총, 27, 23551.

 

 

초록 요약

초록 요약: 전체 연구결과 요약(초록), 세부과제별 요약( 세부과제1, 세부과제2, 세부과제3, 세부과제4, )으로 구성
전체 연구결과 요약(초록)

본 정책연구과제는 한국학 관련 각종 문헌 자료에 수록된 지명들에 대한 학제적 연구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그 성과를 바탕으로 디지털한국역사지명사전(가칭)’을 제작하여 융합적인 연구를 촉발하기 위한 연구실행안(마스터플랜)을 수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과제를 통해 종합적인 연구계획이 수립된 한국 역사지명 연구 과제는 종래의 문헌 중심적 한국학 연구 전통에 역사지리정보시스템(HGIS)이라는 새로운 정보기술을 접목함으로써 새로운 학술자원을 생산하여 한국학 분야의 학술적 인프라를 확장하고, 동시에 한국학 연구의 새로운 연구 방법론과 생산성을 확충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방향 설정과 세부적인 내용을 구성하기 위해 수행한 선행연구 검토에서는 지명과 관련된 논문, 단행본, 고문헌 등 모두 1,000여 종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국내의 지명에 관한 연구는 거의 망라하였으며, 지명에 관한 종합적인 이해와 연구주제 설정에 기초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물 뿐 아니라 국내외의 지명사전과 각종 지명 관련 데이터베이스도 검토하였다. 정부, 학계 및 민간단체에서 편찬한 사전은 물론 상당한 업적을 거둔 북한의 지명사전류도 분석하였다. 국내외 역사지명데이터베이스로, 국내 사례로는 조선 시대 전자문화지도 1, 조선 시대 전자문화지도 2, 한국 근대 전자역사지도 편찬 3개의 연구사업에 관해서 연구 개요 및 방법론, 속성 및 공간데이터에 대해서 정리했고, 이를 통해 디지털 역사지명사전의 방향성을 모색했다. 해외 사례는 영국 역사지리정보시스템(GBHGIS), 중국 역사지리정보시스템(CHGIS), 송대 디지털 지명사전(DGSD)을 중심으로 데이터베이스 구성과 HGIS 적용 기술을 중심으로 검토했다.

그 다음 단계로는 역사지명사전에 그 내용을 담고, 응용연구의 자료로 사용할 수 있는 원자료들을 검토하였다. 원자료는 크게 사전 및 자료집류, 지리지 및 지도류, 사서류, 문집류, 종교문헌류, 여행기류, 잡지 신문류 등으로 나누어 총 24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내용은 일반적인 서지사항부터 지명 자료로서의 특징, 디지털화 상황, 수록 지명 숫자, 지명 데이터베이스 방안까지 망라하였다. 이 가운데는 지리지, 지도와 같이 그 동안 지명 연구의 자료로 널리 활용되어온 것도 있으나, 문집, 종교문헌, 여행기와 같이 지명 데이터베이스와 연구에도 전혀 이용되지 않았던 자료도 많다. 따라서 이들 자료가 연구되면, 지명 연구의 지평이 크게 확대될 것이다.

한국역사지명사전은 그 방대한 양과 구축의 용이성, 이용의 편의성 등을 위해 디지털사전 형태로 제작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사전으로 제작될 한국역사지명사전의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한국역사지명사전은 그 동안의 어떤 지명사전도 갖고 있지 못한 두 가지 특성이 있다. 하나는 지명에 공간 값을 부여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이에 대응하는 시간 값을 부여하는 것이다. 공간 값은 최종적으로 GIS 프로그램에 따라 전자지도에서 그 위치가 표출되며, 시간 값은 각 지명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시간 순으로 정리한, 이른바 지명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지명의 시공간적 변화를 추적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설계안을 마련하였다.

제작될 한국역사지명사전을 활용한 응용연구는 참여 연구자의 연구 분야의 특성을 살리되, 학제적이고 통섭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연구주제를 개발하였다. 연차적으로 완성될 한국역사지명사전에 맞추어 5개년에 걸친 응용연구주제를 구체적으로 설정하였는데, 대 주제는 조선시대 지명의 사회경제사적 고찰’, ‘한글 표기 지명 연구’, ‘지명을 통한 지역성 고찰’, ‘지명 검토를 활용한 고려시대 지역정치 연구’, ‘한국 천주교 문헌 소재 지명 연구’, ‘여행기류 역사지명을 활용한 연구등 다양하며, 이를 기초로 추후 새로운 연구자의 참여에 따라 얼마든지 확장 가능하다.

끝으로, 5개년에 걸친 한국역사지명사전 개발과 그 응용연구를 위한 실행계획안을 편성하였다. 연차별 연구 수행 일정, 연구진 구성, 연구비 예산 설정 등이 주요 내용이다.

 

 
세부과제별 요약
세부과제1

각 학문분야에서 이루어진 지명 연구 동향을 검토하였다. 그 동안 지명 연구를 수행해온 주요 학문분야인 역사학, 지리학, 국어국문학, 한문학, 경제학 등에서 이루어진 방대한 연구 성과를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국내외에서 편찬된 지명사전류과 지명 데이터베이스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종이책 뿐 아니라 전자화된 자료도 살펴보았는데, 특히 본 연구과 긴밀한 연관이 있는 역사지리정보시스템(HGIS) 기반의 역사지명 및 역사지도 연구 사업을 면밀하게 따져보았다.

 
세부과제2

그 동안 지명 연구에서 이용해 온 원자료와 데이터베이스화의 대상이 될 원자료를 검토하였다. 지명 연구에 활용해온 조선시대 지리지와 지도, 근현대 지형도 등의 일반적인 내용과 자료의 특성, 수록된 지명의 특징과 숫자를 분석하였으며, 그 동안 지명 연구에서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자료인 조선시대 문집과 기행문, 통계자료, 근대의 종교자료집, 어학사전, 신문 등까지 검토하여 본격적인 연구를 시행할 때, 지명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할 자료와 응용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선정하고 그 자료적 성격을 살펴보았다.

 
세부과제3

디지털한국역사지명사전구축의 계획안을 수립하였다. 먼저 국내외의 역사, 지리, 지명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검토하여 그 장단점을 분석하고, 본 사업에 시사점을 얻었다. 또한 공동연구원들이 자신의 학분 분야의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디지털한국역사지명사전에 넣을 원자료를 검토하여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한국역사지명사전 구축의 방향을 설정하였는데, 그 주요 내용은 지명 자료원의 성격에 따른 지명 데이터베이스의 설계와 템플릿 구성, 역사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텍스트 정보와 위치정보의 통합, 현재 지명 및 역사지명을 포괄하는 검색기능 부여, ‘기반 역사지명 공간데이터베이스구축을 통한 위치 비정작업의 중복 방지, 다양한 파일 입력 형식 지원 등이며, 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의 구체적인 설계안을 만들었다.

 
세부과제4

지명 연구에 관한 연구주제를 개발하였다. 연구주제의 개발은 데이터베이스화할 자료에 기초하였으며, 지명이 지리적, 언어적, 역사적, 종교적, 문화적, 정치(경제), 사회적 특성을 동시에 지녀 종합적이고 교량적인 연구주제임을 감안하여 학제적이고 통합적인 주제를 개발하였다. 연구주제는 5개년에 걸쳐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으며, 개인 연구 및 공동연구가 가능한 주제를 설정하였다. 연구주제에 따라 그에 적절한 연구방법도 제시하였다. 과제 참여자 개개인 지닌 전문 분야의 지식을 최대한 수합하고 나아가 전공영역을 넘어서는 한국학 전반을 투시할 수 있는 거시적 연구 안목을 확보할 수 있는 지명연구 방법론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