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정책과제 | ||
---|---|---|---|
과제코드 | AKSR2017-P02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구난희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17-05-16 ~ 2017-11-30 | 연구형태 | 공동연구 |
연구목적 및 배경 | 본 정책 연구는 전통한국연구소가 추구하는 아젠다를 구체화하고 향후 연구소가 수행해 나갈 연구 사업의 중장기 계획을 구상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이다. 소속 구성원들이 기존에 수행한 연구들과 연구 가능한 분야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한국 전통문화의 원형과 변용 양상 연구”라는 아젠다를 수립하였다. 아젠다를 중심으로 하여 전통한국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전공을 하나로 통합하고, 연구 활동의 응집력을 높이며, 연구 영역 별 결과물들을 맥락적 구조에서 분석하여, 향후 중장기 차원의 연구 방향과 과제 개발에 일정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아젠다가 표방하는 광범위한 성격을 구체화시켜서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가설적으로 5개 연구 영역(① 원초형, ② 영향형, ③ 전파형, ④ 지향형, ⑤ 분화형)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연구 방향을 설정하였다. 그 첫 번째 방향은 전통 문화의 원형과 변용에 대한 연구 영역 분야별 가능성을 탐색하는 개별과제, 콜로키움, 학술대회, 교양강좌 등의 분석 연구이다. 두 번째 방향은 아젠다에 입각한 연구소 소속 연구원의 기본직무 과제로 수행되는 이론 연구이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전통문화의 원형과 변용이라는 아젠다에 부합하는 학술대회를 추진하여, 각 분야별로 연구 지형의 분석적 지점을 확인하였다. 아젠다에 따른 5개 연구 영역에 부합하는 주제와 연구자를 발굴하여 콜로키움 기획하고 개최하였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와 MOU를 체결하여 연구소의 정체성에 부합하는 교양강좌를 개설하고 운영하여, 일반 시민과의 소통을 확대했다. 소속 연구원은 아젠다 연구영역(전파형, 원초형)에 적합한 연구를 수행했다.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