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1. 조선시대 생성된 한글 매개의 한글·언해 기록유산물을 총집성하여, <한글지식 문명고> 아카이브 구축 및 한글 기록문화 연구의 중추적 기틀을 생산한다.
• 장서각에는 9만여 책의 고서 및 60만여 점의 고문서가 소장되어 있으나, 이중 한글 기록에 대한 전문적인 리스트 및 아카이브가 구축되지 않은 상태임
• 한글·언해 기록유산물에 대한 전면적인 디지털 자료화 및 접근 채널의 단일화를 통해 한글 기록문화 연구를 확산시킬 수 있다고 보여짐
2. 한글을 기반으로 표출하고 전개한 사상·문화·지식·생활사 등 우리의 정신문화에 대한 전방위적인 종합연구의 기틀을 심화한다.
• 한글이 지닌 편이성과 대중성은 지식의 보편화와 대중으로의 지식확산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
• 언해 경학서의 보급, 불교서 등 사상·종교의 자기화적 전승, 병서 및 국정고시 등에 대한 언해를 비롯하여 문학, 의약서 등의 당대 지식의 거의 모든 분야를 망라한 전방위적 언해 사업은 왕실을 중심으로 대대적 국책사업으로 진행됨
• 이러한 언해사업은 조선의 사상과 문화, 생활민속 전반에 끼친 큰 영향을 미침
3. 조선왕조에서 470여 년간 지속한 언해사업에 대한 종합적 연구를 통해 우리문 화가 수용·발전시켜온 동아시아 지식문명에 대한 문명 교류사적 측면을 제고한 다.
• 하나의 왕조가 전 통치기간 동안 단절되지 않고 번역 사업을 벌인 유례는 세계사적으로 드문 사건임
• 조선은 건국 후 54년에 세계사적 문자발명 쾌거를 이루었으며, 15세기 후반부터 불교전 적의 정음화에 착수하였고, 20세초 한말까지 방대하고 다양한 지적 자산들에 대한 언해 (諺解) 작업을 펼침
• 이는 고스란히 우리의 고전문화와 고전사상 발달에 크게 기여를 함
• 문명의 접변·소통·확산·발전은 번역작업에서 촉발됨.(루터-독일어성경과 종교개혁)
4. 한글·언해 기록물에 대한 현대어 번역을 포함한 디지털 총집대성 사업을 통해 ‘모든 한글기록유산물은 한중연으로 검색된다.’는 학술적, 사회적 기여도를 창출한다.
• 한국고전번역원의 고문헌·고전적에 대한 번역과 총집대성 디지털사업은 국내외에 큰 학술적 기여를 하고 있는 사례 참조
• 한글과 언해 연구(가칭) 기관지를 발행하여 연구사업과 병행함으로써 사업의 지속성을 강화함
5. 오백년간 단절을 겪지 않고 축적해 온 한글언해본 기록유산물의 세계기록문화 유산 등재 신청을 대비한다.
6. 정책사업은 본 사업의 설계단계로서, 자료 및 연구상황을 파악하고 샘플링을 제시하여 최종적으로 진행될 사업실행안을 구축하는 것이 목적이다.
- 8 -
연구내용
한글·언해 기록문화 자료구축 현황과 서비스 상황 조사
한글·언해 기록문화 집대성을 위한 기초작업으로 본원과 타 유관기관이 구축한 한글자료 목록을 집성하고, 각 기관이 제공하고 있는 자료의 서비스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시 된다. 이에 본 연구팀은 한글기록문화 기초 조사를 위해본 사업과 관련이 있는 5개의 기관을 선정하고, 각 기관의 한글 자료 목록을 비롯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상세 상황 등을 조사하였다.
• 조사기간 : 2017년 04월 ~ 2017년 08월 (총 5개월) • 조사대상기관 :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 국립한글박물관 (디지털한글박물관) 3.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세종고전 데이터베이스) 4. 문화재청 (국가기록유산) 5. 국립국어원 • 조사자 : 김일권(연구책임자), 유현주(연구보조원), 김연수(연구보조원), 김유진(연구보조원)
각 기관은 한글·언해 자료의 구축과 더불어 관련 데이터베이스 및 연구성과물 등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본 사업의 목적인 한글기록문화의 총집대성을 위한 자료적 토대가 된다고 할 수 있다. 5개 기관이 공개하는 서비스 자료를 위주로 파악해보면, 첫째 ①한국학중앙연구원의 <장서각>은 왕실의 희귀한 자료를 비롯한 다양한 문화재적 가치가 높은 고도서 및 고문서를 소장하고 있다. 장서각은 국문소 설자료 388건에 대한 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며, 99건의 왕실필사본 특별전시 자료 및 240건의 한글자료해제집을 발간하였다.
둘째 ②국립한글박물관의 <디지털한글박물관>은 지정문화재, 문학, 종교, 일상생활, 학습교재 등의 10가지 범주로 나눈‘문헌자료와 해제’에서 1,240건의 한글자료를 제공한다. 1,240건 중 247건은 한글박물관에 소장된 것이다. 이밖 에‘한글문헌통합정보’에는 403건의 한글자료가 공개되어있다.
셋째 ③세종대왕기념사업회는 전체 77건의 자료 중 언해와 관련이 있는 것은 49건이다. 특히 <세종고전데이터베이스>의‘한글고전역주’에서는 49건의 자료 중 8건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였다.
넷째 ④문화재청 <국가기록유산>은 국보·보물 등과 같은 기록유산 1,255건의 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 한글자료는 총 112건으로 파악된다. 전체 자료는 종목, 유형, 시대, 형태 및 시도별로 구분하여 검색이 가능하다.
다섯째 ⑤국립국어원은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기관으로 현대 어문 정책 연구 중심이다. 전체 소장 자료는 한 번에 서비스되지 않으나, 검색을 통해 한글 관련 자료를 찾을 수 있으며“언해”로 검색을 한 경우 327건의 결과가 나오며, 각각 이들에 대한 기본정보를 제공한다.
아래는 현재까지 파악된 장서각과 타 유관기관의 한글·언해 기록문화자료에 대한 조사내용이며, 각 기관별로 해당 기관의 개요와 구축된 자료의 서비스상 황을 각각 20건씩 예를 들어 제시하도록 하겠다.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제1장 연구 개요 ································································································································· 6
Ⅰ. 연구 목적 ·························································································································· 6
Ⅱ. 연구 목표 ·························································································································· 6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 7
제2장 연구내용
한글·언해 기록문화 자료구축 현황과 서비스 상황조사 ··································································· 9
Ⅰ.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1
Ⅱ. 국립한글박물관, <디지털 한글박물관> ····································································· 38
Ⅲ.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세종고전 데이터베이스> ····················································· 44
Ⅳ. 문화재청, <국가기록유산> ·························································································· 46
Ⅴ. 국립국어원 ····················································································································· 49
Ⅵ. 지식정보 연계가 가능한 기타 유관기관(웹서비스 기반 중심) ····························· 49
제3장 성과내용과 향후 계획
<한글·언해 기록문화 집대성 사업>을 위한 심화연구 방안 및 전략 ··············································· 50
Ⅰ. 기존자료 상황조사와 검토의견 ·················································································· 50
Ⅱ. 논의와 전망 ··················································································································· 51
Ⅲ. 한글기록 전문·종합 아카이브로서 <한글지식문명고> 구축 ·································· 52
Ⅳ. 한글기록물 연구 플랫폼 개발과 수립 ······································································· 53
Ⅴ. <한글지식문명고>에서 제공하는 한글자료 예시 ····················································· 54
Ⅵ. 본사업 진행 단계의 중점 및 우선순위 연구 제안 ················································· 55
Ⅶ. 지속·확장 가능한 연구 모델 개발에 대한 제안 ······················································ 55
제4장 <한글·언해 기록문화 집대성 사업>을 위한 분야별 연구제언 ···························· 58
Ⅰ. <한글지식문명고>의 수립과 장서각 소장 비소설 언해기록물의 사상·생활사적 가치 ···· 59
| 김일권(한국학중앙연구원 민속학과 교수)
Ⅱ. 한글 번역의 실재: 고전소설을 중심으로 ································································· 77
| 임치균(한국학중앙연구원 국문학과 교수)
Ⅲ. 『老乞大의 역사적 의의와 자료의 집합 ································································ 100
| 심영환(장서각 고문서연구실)
Ⅳ. 장서각 소장 한글 언해자료 정리 및 DB 구축 ··················································· 120
| 양창진(한국학중앙연구원 학술정보관)
Ⅴ. 언해류 목록 엑셀 및 Hangeul corpus ···························································· 136
| 김태환(한국학중앙연구원 고문서연구실)
Ⅵ. 한국의 경학연구에서 경서언해(經書諺解)의 중요성 ·············································· 170
| 김백희(한국학중앙연구원 왕실문헌연구실)
Ⅶ. 장서각 민간 수집 한글자료에 대한 새로운 착상 ··················································· 183
: -의성김씨 학봉가의 鶴峯先祖行狀(학봉김션장)과 女子初學을 중심으로-| 김학수(한국학중앙연구원 고전번역학)
Ⅷ. 한글문헌연구의 한계와 한글기록문화 집대성 및 통합서비스 방안 ······················· 192
| 조정아(한국학중앙연구원 전임연구원)
Ⅸ. 도교관련 언해자료 조사방법: 관제신앙을 중심으로 ················································ 207
| 김지현(서울대학교 종교학과 교수)
Ⅹ. 조선시대 주역언해가 지닌 자료적 가치와 연구 방향 ················································· 215
: 한글지식문명 정리를 위한 實例 | 황병기(대진대학교 인문학연구소 교수)
제5장 연구결과의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228
※ 별첨 기초조사결과물 [별첨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한글·언해 기록물 ······················································ 233
[별첨2] 국립한글박물관, <디지털 한글박물관>한글·언해 기록물 ··········································· 249
[별첨3]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세종고전 데이터베이스> 한글·언해 기록물 ························· 391
[별첨4] 문화재청, <국가기록유산> 한글·언해 기록물 ······························································ 39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