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 ||
---|---|---|---|
과제코드 | AKSR2014-I55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정순우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14-05-12 ~ 2014-12-19 | 연구형태 | 연구지형도 |
연구목적 및 배경 | 관련 학회지에 수록된 최근 한국교육사 분야의 연구 성과를 검토하여, 그동안 새롭게 시도된 연구방법론, 연구대상, 연구결과를 확인하고, 미진한 분야를 분석하여, 향후 한국교육사 분야의 연구 방향과 과제를 제시한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2013년까지 ‘교육사상연구’, ‘교육사학연구’, ‘교육철학연구’ 등 관련 학회지 13개에 수록된 제도사, 사상사, 현대적 활용 등과 관련된 한국교육사 분야의 연구 성과를 검토하여, 그동안 새롭게 시도된 연구방법론, 연구대상, 연구결과 및 미진한 분야의 연구 과제를 분석하였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이번 연구를 통해 한국교육사 분야에 새롭게 등장한 ‘과거제도에 대한 새로운 시각’, ‘문인 공동체’, ‘전통시대 교육의 실제’, ‘여성과 평민’ 등 피지배층의 교육, 하층민의 교육 문화로서의 ‘무속’, ‘조선시대 왕실교육’, ‘조선시대 악 교육의 실제’, ‘유가 예학의 현대 메타 교육이론으로서의 가능성 탐색’, 유교교육이론의 현대적 적용을 위한 ‘컨텐츠화와 미디어화 방안’, 전통시대 교육의 핵심 키워드로서의 ‘가훈, 가학, 가정교육’ 등 다양한 연구 주제와 방법론, 연구 시각 및 연구 성과를 확인하였다.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