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AKSR2014-C17
연구과제명
  • 국문 : 글로벌 시대 다문화 친화적 학교교육개혁 방안 탐색
  • 영문 : School Reform for Multicultural Korea in a Global Age
연구책임자 오만석
공동연구자
  • 이길상 / 본원 / 교수
  • 차윤경 / 한양대학교 / 교수
  • 모경환 / 서울대학교 / 교수
  • 주미경 / 한양대학교 / 부교수
  • 함승환 / 한양대학교 / 조교수
  • 정미량 / 본원 / 책임연구원
연구기간 2014-03-28 ~ 2015-12-18 연구형태 공동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본 연구는 정치, 경제, 사회문화적 영역의 급속한 지구화 현상과 다인종, 다문화화라는 전대미문의 도전에 직면해 있는 한국사회의 학교교육이 향후 어떻게 변모되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방향 탐색을 주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및 내용

1차 년도에는 문헌 연구, 교육과정 및 교육개혁 사례 분석 등을 통하여 미래 사회의 변화를 반영한 다문화 친화적 교육개혁의 기본 방향을 수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1년차 연구의 내용은 교육개혁 관련 국제비교 연구, 사상 및 역사적 개관, 교육개혁의 밑그림 도출의 세 가지로 구성된다.

2년차 연구의 핵심은 1년차의 기초 연구를 토대로 지구화 시대의 다원화된 사회에서 요구되는 인재 양성을 위한 한국적 다문화 친화적 학교교육 개혁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학교교육의 단계별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교사양성방안 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도 효율적인 개혁방안 탐색은 물론 학교교육과 관련된 각종 지원체제 및 사회문화적 환경을 근원적으로 개선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다문화교육의 배경과 역사를 1장에서 개괄하고 국제 비교를 위해 미국 국가역사표준 논쟁을 살펴보고 다문화교육정책의 국제적 제도화 및 효과를 검토하였다. 또 앞서 다문화주의를 경험한 캐나다, 호주의 사례를 바탕으로 다문화 친화적 학교 개혁 방안을 탐색하였다.

또한 다문화교육의 실행을 위해 시민교육의 방향과 교육과정 구성원리를 탐색해보고, 한국에서 외국인 학교 문제는 어떻게 논의되고 있는지를 탐색하여 한국적 다문화교육이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다문화 사회의 이상과 현실을 개관하고, 반다문화주의의 보편성과 한국적 특수성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다문화교육은 어떠한 방향을 확립할 것인가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이주배경 학생의 학교 통합을 위한 여러 가지 구체적 방안과 다문화 친화적 교육과정의 구성원리와 다문화 친화적 교사 양성 방안 및 다문화 친화적 학교조직 방안, 외국인학교 정책 방안 등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참고문헌

김이선김혜원오성배(2009). 학교에서의 다문화가족 교육지원 실태 및 요구조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 2009-12-2.

김정원(2006). 국내 몽골 출신 외국인 근로자녀 학교 교육 실태분석. 교육사회학연구, 16(3), 95-129.

김진희(2014). 다문화주의를 둘러싼 국제 갈등 이슈와 다문화교육의 방향 성찰. 다문화교육연구, 3(7), 101-129.

송혜은(2008).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수학 학습 성취도 실태 조사: 초등학교 4, 5, 6학년을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안성호(2014). 다문화시대 사회통합을 위한 학교교육과정 탐색.

오성배(2005). 코시안 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 32(3), 61-83.

이경희(2011). 한국 다문화교육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교육사회학연구, 21(1), 111-131.

이민경(2008). 한국사회의 다문화 교육 방향성 고찰: 서구 사례를 통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18(2), 83-104.

이민경(2010). 한국 다문화교육정책 전개과정과 담론 분석: 교과부의 다문화가정 자녀교육 지원정책(2006-2009)을 중심으로. 한국교육, 37(2), 155-176.

장윤영고상숙(2009). 다문화권 학생들의 초등수학 학습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수학교육, 48(4), 419-442.

조영미이옥영(2010). 다문화가정 학생 대상 언어·인지 진단도구 적용 결과 분석 - 초등학교 1·2학년 수학. 수학교육연구, 20(2), 103-119.

차윤경(2008). 세계화 시대의 대안적 교육모델로서의 다문화교육. 다문화교육연구, 1(1), 1-23.

차윤경·함승환(2012). 다문화사회와 다문화주의. 장인실 외, 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 서울: 학지사.

Alcoff, L., & Potter, E. (eds.). Feminist epistemologies. New York, NY: Routledge.

Banks, J. (2008).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4th ed.)(모경환 외 역). Boston: Pearson Education Inc.

Banks, J. A. (2009). Multicultural education: Dimensions and paradigms. In J. A. Banks (ed.), The Routledge International Compan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pp. 9-32). New York, NY: Routledge.

Bennett, C. I. (2007). Comprehensive Multicultural Education(6th ed.). Boston: Pearson Education Inc.

Gibson, M. A. (1976). Approaches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thropology & Education Quarterly, 7(4), 7-18.

Lave, J., & Wenger, E. (1993).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May, S. (2009). Critical multiculturalism and education. In J. A. Banks (ed.), The Routledge International Compan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pp. 33-48). New York, NY: Routledge.

Mullis, I. V. S., Martin, M. O., & Foy, P. (with Olson, J. F., Preuschoff, C., Erberber, E., Arora, A., & Galia, J.) (2008). TIMSS 2007 International Mathematics Report: Findings from IEA’s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at the Fourth and Eighth Grades. Chestnut Hill, MA: Boston College.

Nader, L. (ed.)(1996). Naked science: Anthropological inquiryb into boundaries, power, and knowledge. New York, NY: Routledge.

Nieto, S., & Bode, P. (2008). Affirming Diversity: The Sociopolitical Context of Multicultural Education(5th ed.). Boston: Pearson Education, Inc.

모경환(2009). 다문화 교사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교원교육연구, 26(4), 245-270.

정민승, 이해주, 모경환, 차윤경(2013). 다문화교육론.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차윤경, 모경환, 류방란, 주미경, 함승환(2015). 문화다양성 교육현황 실태조사. 광주: 아시아문화개발원.

Banks, J. A. (2008). 다문화교육 입문(수정판, 모경환, 최충옥, 김명정, 임정수 역).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Banks, J. A. (2011). 다문화교육: 특성과 목표. J. A. Banks & C. A. M. Banks (편저), 다문화교육: 현황과 전망(7, 차윤경, 부향숙, 윤용경 역, pp. 3-37). 서울: 박학사.

Bennett, C. I. (2009). 다문화교육: 이론과 실제(김옥순, 김진호, 신인순, 안선영, 이경화, 이채식, 전성민, 조아미, 최상호, 최순종 역). 서울: 학지사.

Cha, Y.-K., & Ham, S.-H. (2012). Constructivist teaching and intra-school collaboration among teachers in South Korea: An uncertainty management perspective.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13(4), 635-647.

Floden, R. E., & Buchmann, M. (1993). Between routines and anarchy: Preparing teachers for uncertainty. Oxford Review of Education, 19(3), 373-382.

Foucault, M. (1984). The Foucault reader (edited by P. Rabinow). New York, NY: Pantheon Books.

Hargreaves, A. (2013). Push, pull, and nudge: The future of teaching and educational change. In X. Zhu & K. Zeichner (Eds.), Preparing teachers for the 21st century (pp. 217-236). New York, NY: Springer.

Hoy, W. K., & Miskel, C. G. (2012).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9th ed.). New York, NY: McGraw-Hill.

May, S. (2009). Critical multiculturalism and education. In J. A. Banks (Ed.), The Routledge international compan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pp. 33-48). New York, NY: Routledge.

Nieto, S., & Bode, P. (2011). 학교 개혁과 학생의 학습: 다문화적 전망. J. A. Banks & C. A. M. Banks (편저), 다문화교육: 현황과 전망(7, 차윤경, 부향숙, 윤용경 역, pp. 479-503). 서울: 박학사.

Sagar, H. A., & Schofield, J. W. (1984). Integrating the desegregated school: Problems and possibilities. In M. Maehr & D. Bartz (Eds.) Advances in motivation and achievement. Greenwich, CT: JAI Press.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