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AKSR2014-C05
연구과제명
  • 국문 : 장서각소장 한글필사본자료 역주 연구 - 유희(柳僖) <물명고(物名考)> 역해
  • 영문 : Translation with explanatory notes for the Manuscript Mulmyeonggo by Ryu Heui in Jang Seo Gak
연구책임자 황문환
공동연구자
  • 김건곤 / 본원 / 교수
  • 김덕수 / 본원 / 선임연구원
  • 김동수 / 본원 / 문학박사
  • 김봉좌 / 본원 / 연구원
  • 박부자 / 성신여자대학교 / 조교수
  • 박용만 / 본원 / 책임연구원
  • 안장리 / 본원 / 책임연구원
  • 조영준 / 본원 / 조교수
  • 황선엽 / 서울대학교 / 부교수
연구기간 2014-03-28 ~ 2016-06-17 연구형태 공동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본원 장서각에 소장된 한글 필사본물명고(物名考)(22)를 대상으로 이본 대비(=교감), 어휘 역해(=번역과 해설), 대역색인 작성 등을 통하여 학계와 일반에 유용하게 활용될 자료로 제공 [2차년도에는 乾坤’ 2책중 坤冊을 대상]

연구방법 및 내용

이본대비와 교감

역해 저본(장서각 소장 B)을 중심으로 현존하는 이본 5종 간의 차이를

정리하고 교감 작업 수행

해제 작성

서지 사항, 이본 사항, 편찬 성격, 편찬 의의 등과 더불어 표제항의 성격(분류와

순서 등)을 분석한 내용을 해제에 포함

어휘 역해

원문에서 표제항으로 삼은 어휘에 대하여, 원문 속의 협주 내용을 현대어로 번역하는 한편 원문의 한자명이나 한글명과 관련한 간략 해설을 추가 (이러한 역해 내용이 나중에 Excel 파일로 자동 전환되어 대역 색인 등에 직접 활용될 수 있도록 연구 수행 시 역해 원고는 Data Base 구조를 취함)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자료편(영인본): 마이크로필름(장서각 소장본 2)

- 교감 원고(hwp파일) : A4 183

역해편(hwp파일)

- 해제 원고(일러두기 포함) : A4 12

- 역해 원고(DB구조를 취한 원고) : A4 1,435

특기할 점은 역해 원고의 양이 연구계획서 작성 당시 계획했던 양보다 거의 3배 가까이 될 정도로 크게 늘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결과가 빚어진 데에는 원고가 DB 구조를 취한 것도 한 원인이지만 역해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해설부분의 집필 분량이 당초 예상보다 늘어난 점도 크게 작용하였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