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AKSR2014-C05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황문환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14-03-28 ~ 2016-06-17 | 연구형태 | 공동연구 |
연구목적 및 배경 | 본원 장서각에 소장된 한글 필사본『물명고(物名考)』(2권 2책)를 대상으로 이본 대비(=교감), 어휘 역해(=번역과 해설), 대역색인 작성 등을 통하여 학계와 일반에 유용하게 활용될 자료로 제공 [※2차년도에는 ‘乾坤’ 2책중 ‘坤冊’을 대상] |
||
연구방법 및 내용 | ① 이본대비와 교감 역해 저본(장서각 소장 B본)을 중심으로 현존하는 이본 5종 간의 차이를 정리하고 교감 작업 수행 ② 해제 작성 서지 사항, 이본 사항, 편찬 성격, 편찬 의의 등과 더불어 표제항의 성격(분류와 순서 등)을 분석한 내용을 해제에 포함 ③ 어휘 역해 원문에서 표제항으로 삼은 어휘에 대하여, 원문 속의 협주 내용을 현대어로 번역하는 한편 원문의 한자명이나 한글명과 관련한 간략 해설을 추가 (이러한 역해 내용이 나중에 Excel 파일로 자동 전환되어 대역 색인 등에 직접 활용될 수 있도록 연구 수행 시 역해 원고는 Data Base 구조를 취함)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① 자료편(영인본): 마이크로필름(장서각 소장본 2종) - 교감 원고(hwp파일) : A4 183매 ② 역해편(hwp파일) - 해제 원고(일러두기 포함) : A4 12매 - 역해 원고(DB구조를 취한 원고) : A4 1,435매
특기할 점은 역해 원고의 양이 연구계획서 작성 당시 계획했던 양보다 거의 3배 가까이 될 정도로 크게 늘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결과가 빚어진 데에는 원고가 DB 구조를 취한 것도 한 원인이지만 역해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해설’ 부분의 집필 분량이 당초 예상보다 늘어난 점도 크게 작용하였다.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