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AKSR2014-C02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신익철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14-03-28 ~ 2015-12-18 | 연구형태 | 공동연구 |
연구목적 및 배경 | 본 연구는 조선 후기의 문인 김려(金鑢, 1766~1821)가 편찬한 ????한고관외사(寒皐館外史)???? 역주 연구의 첫 번째 작업으로 기획되었다. ????한고관외사????는 조선 전기부터 당대까지 저술된 수십 종의 야사(野史)를 철저하게 교감하여 만든 야사 총서로 후대에 ????대동패림????, ????패림????, ????광사???? 같은 유사한 총서를 낳은 야사 총서이다. ????한고관외사????는 140권 70책 60종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과 하버드대 엔칭 연구소에 분산 수장되어 전하는데, 본원에서는 일찍이 그 가치에 주목하여 장서각 소장본과 여기에 수록되지 않은 엔칭 연구소 소장본을 축쇄 영인하여 ????한국학자료총서 32????(전5책)으로 간행한 바 있다. ????한고관외사???? 역주 연구의 첫 대상 작품은 이재(李縡, 1680~1746)가 지은 ????삼관기(三官記)????를 대상으로 하였다. ????한고관외사???? 권113-116에 실려 전하는 ????삼관기????는 저자 이재가 직접 목격하거나 견문한 사실을 서술한 것으로 사료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받는 저술이다. 한문본과 국문본의 여러 이본이 전하는 ????삼관기????는 당대 및 후대에 널리 읽혀진 흥미로운 저작인데, 아직까지 번역이 이루어지지 않아 아쉬움을 남기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삼관기????의 역주 작업이 이루어진다면 관련 학계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들의 고전에 대한 흥미를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1) ????삼관기???? 역주의 필요성
????삼관기(三官記)????는 조선 중기의 노론계 문인 이재(李縡)가 지은 필기류 저작이다. 저자가 경험하거나 전해들은 이야기를 이관(耳官), 목관(目官), 심관(心官)의 세 항목으로 나누어 흥미롭게 서술하고 있다. 경험의 내용으로는 자신의 성장과정, 학문활동, 관직생활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저자 자신의 가족 및 그와 학문적․정치적 연고가 있는 이들에 얽힌 이야기들도 두루 다루어져 있다. 소론 및 남인과 노론 사이에 당쟁이 격화되고 정치권의 권력 구도가 급변하던 시대의 중심부에 살았던 이재는 ????삼관기????에 자신과 그 주변에서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내용을 많아 담았다. 따라서 ????삼관기????에는 정치․사회적으로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많이 발견된다. 17세기 말~18세기 초의 정치문화라든가 외직을 통하여 경험한 지방의 사회상 등이 자세하며, 저자가 개인적으로 접했던 여러 인물들의 특징적인 면모가 구체적으로 서술되어 있기도 하다. 그뿐만 아니라 ????삼관기????에는 특히 강인한 의지를 지니고 과단성 있게 행동하는 여성 인물들에 대한 서술이 족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여 주목된다.
2) ????삼관기????의 이본 현황
????삼관기????는 김려가 편찬한 ????한고관외사????에 수록된 것 외에 다수의 이본이 전한다. 한문본 ????삼관기????로는 장서각본(K2-2201, K2-2202, 2책), 국립중앙도서관본(B12109-15, 1책), 규장각본(奎5955-v.1-3, 3책), 동국대본(814.5이72ㅅ 1~2, 2책), 이화여대본(이하 이대본, 920이812ㅅ 1~2, 2책) 등이다. 한글본으로는 서강대본(고서 도61 v.1~3, 3책), 동국대본(814.5이72사 1~3, 3책), 규장각본(古0320-11, 1책), 국도본(BC古朝56-나150, 2책) 등이 전한다. 현전하는 한문본들은 이재의 원작이 거의 그대로 필사되어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한문본은 대체로 ‘이관’, ‘목관’, ‘심관’이라는 분목(分目)을 두어, 그 아래에 자신이 들어서 알게 되었거나 직접 경험한 내용의 이야기들을 실어 놓았다. 한문본 ????삼관기????에는 총 370여 조의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으며, 그 가운데 3분의 2에 달하는 2백 여조의 이야기가 ‘이관’에 실려 있고 나머지는 '목관'과 '심관'에 각각 80여 조씩 서술되어 있다. 한글본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전승되는 과정에서 한문본과는 달리 한글본 만의 특성을 간직하며 새롭게 구성된 양상이 보인다. 특히, 이재가 쓴 만동묘(萬東墓)의 비문과 이이명(1658~1722)의 처 광산 김씨의 상소문이 추가 되어 있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상의 여러 이본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김려의 ????한고관외사????에 권113~114에 수록된 ????삼관기????를 저본으로 하여 1차년도 역주 작업을 진행하였고, 2차년도 역주 작업은 국립중앙도서관본인 ????陶庵三官記????(B12109-15, 1책)를 저본으로 삼았다. ????한고관외사????의 ????삼관기????는 김려의 교감과 주석이 달려 있어 원 텍스트의 이해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그 자체가 소중한 정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권3, 4(????한고관외사???? 권 115~116)에 해당하는 부분이 결락되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본 ????陶庵三官記????는 ????한고관외사???? 본에 없는 권3과 4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이본 가운데 선본이다. 그러므로 이 저본을 통해 역주작업을 진행한다면 원래 ????삼관기????의 내용에 가장 근접할 수 있을 것이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한고관외사????에 수록된 ????삼관기????는 ‘寒泉三官記(一〜四)’라는 표제 하에 권113〜116에 수록되어 있다. 이중 권113과 114는 장석각과 하버드 엔칭 도서관에 모두 수록되어 있으나, 115와 116권은 아쉽게도 두 기관 모두 결락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삼관기???? 1차 연도 역주사업은 권113-114가 수록된 ????한고관외사???? 소수본을 저본으로 하였고, 2차 연도는 ????한고관외사???? 본에 없는 ????三官記-三四????를 포함한 이본들 가운데 선본인 국립중앙도서관본의 ????陶庵三官記????를 저본으로 하여 역주사업을 진행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본 ????陶庵三官記????는 1책 68장의 필사본으로, 총 136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가운데 1차 연도 역주사업에 해당하는 1~77면을 제외하고 나머지 78면부터 136면까지 총 58면에 대한 역주작업을 진행하였다. 각 면당 행수는 14줄, 한 행당 자수는 약 32자이므로 원문은 한 면당 약 448자에 해당한다. 따라서 2차 연도 역주 대상의 원문은 200자 원고지 130매 안팎의 분량이 되므로, 역주된 내용과 원문을 합한 최종 결과물은 원고지 1100매 가량(A4 110매)이 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여기에 한글본 서강대본과 국도본의 맨 뒤에는 있는 이재의 「만동묘비(萬東墓碑)」와 이이명(李頤命)의 처 광산 김씨가 영조 앞으로 올린 상소문을 현대역하여 부록으로 제시하기로 하였다. ????삼관기????의 전변 양상을 보여주는 독특한 자료이기 때문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물을 위해 총 3인의 연구자가 보조원 3인과 각기 조를 이루어 분량을 분담한 뒤 조별로 역주 작업을 하고, 총 9차에 걸친 전체 연구자 회의를 통해 역주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함께 검토하며 공동으로 해결을 모색하였다. 세부적인 연구 절차와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역주 연구의 절차와 방법
① 연구자별 강독회의와 전체 강독회의 개회 연구보조원은 매주 각자 담당한 분량의 원문을 입력하고 연구원과 함께 초역하였다. 매달 실시되는 전체 강독회는 연구책임자의 주관 하에 공동연구자 2인과 연구보조원 3인이 참여하여 진행하였다. 전체 강독회는 ㉮원전 사본과 ㉯디지털 문서로 입력한 자료와 ㉰번역문 초고를 지참하고, 차례로 분담한 책임량을 읽어 나가면서 문제점을 토의하였다. 토의하는 과정에서 난해한 원전 용어의 의미를 해독하고, 주석이 필요한 항목을 추출한다.
② 번역과 주석 및 교차 검토 연구책임자 1인과 공동연구자 2인 등 3인의 연구자가 번역 및 주석을 분담하였다. 강독 과정의 토의 내용에 의거하여 번역자가 각자 자신의 자료 해석 내용을 수정하고 그 결과를 번역에 반영하였으며, 번역문은 일반 독자들도 수월히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작성한다. 그리고 앞서 강독 과정을 통하여 추출한 항목을 주석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새로운 항목에 대한 주석을 추가하였다.
③ 수정ㆍ보완 및 교감․윤문 번역문 일체의 정확성과 난해성ㆍ애매성 여부, 주석 항목 기술의 적절성 등을 고려하여 교차 검토된 원고는 검토 결과에 따라 수정·보완하였으며, 연구책임자가 이를 모두 수합한다. 연구책임자는 각 연구자에 의해 수정․보완된 원고를 정해진 원칙에 따라 원문 입력 결과물과 함께 최종 교감하였다. 아울러 전문 연구자에게 의뢰해 역주한 총 결과물을 일관된 문체로 최종 윤문•교열하였다.
2) 연구진 구성
① 연구책임자 자료의 번역 및 주석 부분을 연구자별로 할당하며, 연구책임자가 맡은 부분의 번역 및 주석 원고를 작성하였다. 공동연구자A, 공동연구자B와 함께 번역 및 주석 결과를 교차 검토하였으며, 매달 진행한 전체 강독회의 진행을 책임졌다.
② 공동연구자A 월별로 진행되는 독회를 위해 연구보조원과 함께 자료의 번역 및 주석 원고를 작성하였다. 연구책임자 및 공동연구자B와 함께 번역 및 주석 결과를 교차 검토하였다.
③ 공동연구자B 월별로 진행되는 독회를 위해 연구보조원과 함께 자료의 번역 및 주석 원고를 작성하였다. 연구책임자 및 공동연구자A와 함께 번역 및 주석 결과를 교차 검토하였다.
⑤ 연구보조원A 연구책임자의 번역 및 주석 원고 작성을 돕기 위하여 원문의 입력을 담당하고, 번역 및 주석에 요구되는 자료를 수집·정리하였다.
⑥ 연구보조원B 공동연구자A의 번역 및 주석 원고 작성을 돕기 위하여 원문의 입력을 담당하며, 번역 및 주석에 요구되는 자료를 수집·정리한다.
⑦ 연구보조원C 공동연구자B의 번역 및 주석 원고 작성을 돕기 위하여 원문의 입력을 담당하고, 번역 및 주석에 요구되는 자료를 수집·정리하였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2014년은 역주 작업의 1차 연도로 ????산관기???? 4책 중 2책을 역주하였다. 총 221화의 이야기를 번역하고,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각각의 이야기마다 원전에는 없는 제목을 달았다. 제목은 기사의 내용을 압축하여 제시할 수 있는 문구로 하였다. 연구원과 연구보조원이 각 2인씩 짝을 이루어 약 70여 화의 기사를 분담하여 역주하였으며, 매달 전체 강독회를 통해 문제점을 토의하며 체재를 통일하였다. 아울러 ????실록????이나 ????승정원일기???? 등에서 기사의 내용과 관련된 내용을 최대한 확인하여 주석에서 제시함으로써 독자가 이야기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게 하였다. 역주 결과물은 A4 180매, 200자 원고지로 1785매에 이른다. 인명이 매우 많이 등장하는데, 내년 2년차 작업을 끝낼 즈음에는 부록으로 <인명 해설>을 따로 제시하여 독자의 편의를 돕고자 한다. 2015년은 역주 작업의 2차 연도로 ????삼관기???? 4책 중 3책과 4책을 역주하였다. 총 154화의 이야기를 번역하고,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각각의 이야기마다 원전에는 없는 제목을 달았다. 제목은 기사의 내용을 압축하여 제시할 수 있는 문구로 하였다. 연구원과 연구보조원이 각 2인씩 짝을 이루어 약 50여 화의 기사를 분담하여 역주하였으며, 매달 전체 강독회를 통해 문제점을 토의하며 체재를 통일하였다. 아울러 ????실록????이나 ????승정원일기???? 등에서 기사의 내용과 관련된 내용을 최대한 확인하여 주석에서 제시함으로써 독자가 이야기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게 하였다. 역주 결과물은 A4로 113매, 200자 원고지로 1118매에 이른다. 인명이 매우 많이 등장하는데, 연구사업 이후 출판을 진행 할 때 부록으로 <인명 해설>을 따로 제시하여 독자의 편의를 돕고자 한다.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