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모노그래프과제 | ||
---|---|---|---|
과제코드 | AKSR2013-M03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권희영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13-03-01 ~ 2014-12-20 | 연구형태 | 저서 |
연구목적 및 배경 | 동아시아 3국의 근대화는 각기 독특한 여정을 보였다. 서세동점이라는 위기를 공통으로 가지고 있었으나 그 대응의 양상이 서로 달랐고 그 결과도 판이하게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양상을 여러 각도에서 조망하여 볼 수 있겠으니 번역이라는 측면에서 이 서로 다른 양상을 비교분석한다. 동아시아에서의 번역이란 일차적으로는 서양에서 기원된 근대적 언어를 동아시아적 환경에서 어떻게 이해하였는가의 문제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동아시아 3국이 각기 처한 상황에서 같은 언어라고 하더라도 이것이 어떻게 달리 번역되었고 또 같은 용어로 번역되었다 하더라도 각기 어떤 다른 의미를 가지면서 사용되었는가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것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동아시아에 유입되고 번역된 핵심적인 개념어를 몇 개 선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하여 동아시아의 근대에 대한 사상적 태도를 점검하려는 것이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번역과 동아시아의 근대 목차
제1장. 동아시아에서의 번역에 대한 이해 1. 서양 언어에 대한 호기심과 이해의 욕망 2. ‘東表西意’적 번역과 그의 문제 제2장. 문명과 개화: 미개임을 자각한 문명 1.동아시아 유교의 문명 이해 2.도달해야 할 목표로서의 개화문명 제3장. 개인과 사회: 경험해보지 못한 경지의 이념적 체험 1. 동아시아의 신분질서와 개인의식 2. 자연법의 수용과 개인의 이해 3. 인욕에 바탕을 둔 사회 제4장. 자유: 두려움으로 사용한 옛 것 1. 국가의 질서 2. 조심스럽게 그러나 결국 제5장. 정치와 경제: 오래된 것, 그러나 전혀 다른 것 1. 제왕과 경학 2. 가장 중요한 국가사가 된 末業의 원리 제6장. 법: 형이상학에 의존해서 이루어진 번역 1. 제왕과 인민 2. 만국공법 제7장. 국민과 민족: 형성해야 할 과제로 만들어진 거울상 1. 외상으로 형성된 국민 2. 생존의 위협 앞에 형성된 민족 제8장. 맺음말: 번역을 통하여 창조한/된 동아시아의 근대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