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AKSR2019-C11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 종교 교단의 연중 종교생활에 대한 연구
  • 영문 : A Study on the Annual Religious Life of Korean Religions
연구책임자 강돈구
공동연구자
  • 조현범 / 한국학중앙연구원 / 부교수
  • 고병철 /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석연구원
  • 박종수 / 대구가톨릭대학교 / 연구교수
  • 허남진 / 원광대학교 / 연구교수
연구기간 2019-01-01 ~ 2019-12-16 연구형태 공동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본 연구는 1년이라는 주기 속에서 현대 한국의 여러 종교 교단들이 행하는 종교 생활을 공간별, 집단별로 나누어 고찰하고, 이를 통하여 현대 한국인의 종교적 삶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방식을 탐구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현대 한국 종교의 연중 종교 생활을 연구하기 위한 분석 대상으로서 5개 종교 교단을 선정하였다. 일정한 교세, 전통문화 친연성 내지 토착화, 교단 조직 분화, 신자와 종교 전문가의 분화 등을 기준으로 평가하였을 때, 대한불교조계종, 한국기독교장로회, 천주교 서울대교구, 원불교, 대순진리회 등이 본 연구의 연구 대상으로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리하여 5개 종교 교단에 속한 신자들이 1년을 주기로 하여 어떤 종교 생활을 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대순진리회의 연중 종교 생활

- 천주교 서울대교구의 연중 종교 생활

- 개신교단의 연중 종교 생활 : 한국기독교장로회 사례 중심

- 불교의 연중 종교 생활 : 대한불교조계종 사례 중심

- 원불교의 연중 종교 생활

 
연구결과

단행본 출판 예정

참고문헌

강돈구, 대순진리회의 신관과 의례, ????종교연구???? 73, 2013; 강돈구, ????어느 종교학자가 본 한국의 종교교단????, 박문사, 2017; 송현주, 현대 한국불교 의례의 과제와 제언, ????철학사상???? 11, 2000; 조현범, 한국 천주교의 현재와 미래, ????종교연구???? 68, 2012 외 다수.

 

초록 요약

초록 요약: 전체 연구결과 요약(초록), 세부과제별 요약( )으로 구성
전체 연구결과 요약(초록)

일반적으로 종교 생활이라고 하면 주로 의례 실천에 관한 활동들만을 연상하기 십상이다. 그래서 현실에서 살아 움직이는 종교인들의 활동이나 종교 생활을 연구 대상으로 놓고 다루는 경우에도 주로 종교 교단에서 공식적으로 행하는 의례 실천에 국한되어 다룬다.

물론 의례 실천이 종교 생활의 중요한 구성 부분인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실제 종교 생활은 의례 실천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특히 현대 한국의 종교인들이 영위하고 있는 종교 생활 자체는 의례 실천만이 아니라 다양한 요소들로 이루어진다. 교단의 공식적인 의례들, 교단에서 인정하는 공식적인 단체나 비공식적 소모임에서 행하는 각종 활동과 교육 프로그램들, 신자들이 개인 가정에서 행하는 신앙 행위들, 그리고 신자들의 종교 생활과는 별도로 교단의 교역자들이 주기적으로 행하는 종교적 실천 등이 종교 생활을 구성한다. 나아가서 일상적 삶과 종교적 실천의 접촉면에 존재하는 행위들도 종교 생활을 이루는 요소들이다. 이러한 종교 생활들은 주기적인 반복을 통하여 참여자들의 종교적 성향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는 1년이라는 주기 속에서 현대 한국의 여러 종교 교단들이 행하는 종교 생활을 공간별, 집단별로 나누어 고찰해 현대 한국인의 종교적 삶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방식을 탐구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팀은 현대 한국 종교의 연중 종교 생활을 연구하기 위한 분석 대상으로서 5개 종교 교단을 선정하였다. 일정한 교세, 전통문화 친연성 내지 토착화, 교단 조직 분화, 신자와 종교 전문가의 분화 등을 기준으로 평가하였을 때, 대한불교조계종, 한국기독교장로회, 천주교 서울대교구, 원불교, 대순진리회 등이 본 연구의 연구 대상으로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리하여 5개 종교 교단에 속한 신자들이 1년을 주기로 하여 어떤 종교 생활을 하는지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현대 한국 종교 교단의 연중 종교 생활에 대한 학술적 차원의 이해를 도모한다.

본 연구 내용은 현대 한국 종교 교단의 연중 종교 생활 탐구라는 연구 목적에 따라 종교 교단별로 종교 생활을 탐구한다. 이를 분류해보면, 신종교(대순진리회, 원불교), 천주교, 개신교, 불교로 구분된다. 다만, 교구 중심의 종교 생활이 이루어지는 천주교의 경우에는 서울대교구를 중심으로, 교파 중심으로 종교 생활이 이루어지는 개신교는 한국기독교장로회 사례를 중심으로, 종파별로 종교 생활이 이루어지는 불교는 대한불교조계종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개략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대순진리회의 연중 종교 생활 사례에서는 종교 생활을 방면과 도장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그리고 방면의 종교 생활은 다시 가정, 포덕소, 회실과 회관으로 구분하고, 도장의 종교 생활은 여주본부도장과 금강산토성수련도장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천주교 서울대교구의 연중 종교 생활 사례에서는 종교 생활을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첫 번째는 주일과 축일, 두 번째는 전례주년, 세 번째는 미사 전례, 네 번째는 판공성사 부분이다. 개신교의 연중 종교 생활 사례에서는 한국기독교장로회 사례를 중심으로, 종교 생활에서 총회와 노회가 수행하는 역할, 그리고 당회의 상황을 탐색해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불교의 연중 종교 생활 사례에서는 대한불교조계종 사례를 중심으로 종교 생활의 중심이 되는 불교 의례를 분류한 후, 승가와 재가불자의 경우를 나누어 연중 종교 생활을 검토하였다. 원불교의 연중 종교 생활에서는 원불교 교도가 되는 과정과 교도에게 부여되는 종교적 의무, 그리고 이를 토대로 이루어지는 종교 생활을 일상의 조석심고와 상시 훈련 및 중앙총부와 교당의 종교 생활을 구분해 검토하였다.

본 연구가 학문적으로는 한국의 종교학계에 현장 종교학의 중요성을 알리고, 사회적으로는 한국인들의 종교 생활에 대한 차이점과 유사점을 발견해 대화와 교류를 가능하게 만들 수 있는 의미 있는 독서 경험을 제공하기를 기대한다. 또한 교육적으로도 한국종교사, 종교와 현대사회, 종교와 문화 등 종교 관련 강의에서 교육교재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세부과제별 요약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