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모노그래프과제
과제코드 AKSR2018-M03
연구과제명
  • 국문 : 미국의 한국정치개입사 사례 연구: 카터의 전두환 제거작전을 중심으로, 1980
  • 영문 : A Study on the Ji-baramilda-pum of Woncheuk's Sandhinirmocanasūtra-ṭīkā
연구책임자 이완범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2018-04-04 ~ 2019-11-30 연구형태 단독저술형
연구목적 및 배경

카터 대통령은 대한민국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던 미 대통령들 중 하나이다. 따라서 카터와 전두환과의 관계는 한국현대정치사의 가장 중요한 주제들 중의 하나이다. 이 연구는 19791212 전후 신군부가 정권을 탈취하려는 시기부터 1980년 정권을 장악했던 시기까지의 정권교체기가 주요 탐구대상이다.

12·12 ‘쿠데타적 사건,’ 19801월 말-2월 초의 전두환 제거 검토, 카터의 김대중 구명 노력과 전두환 제거구상 등을 중점적으로 탐구할 것이다. 또한 레이건 행정부 시절인 19876월 전두환의 친위쿠데타 기도를 미국이 견제하면서 6-29선언을 유도하는 과정도 살펴볼 것이다. 이는 1980년 카터식 전두환제거구상이 1987년에 레이건식으로 간접적이고 우회적인 결실을 보았기 때문이다.

연구방법 및 내용

사료의 분석을 통한 실증적 검증을 주요한 방법으로 삼는 역사적 접근법(historical approach)을 동원해 1980년대 한미관계를 보고자 한다. 이 문제에 관한 사실확인이 아직 미흡한 상태이므로 미간행 내부 문서와 공간된 외교 문서증언 등에 의존한 역사적 고증방법과 연대기적 서술(chronological description)-서사적 방법(narrative method)이 가장 설득력 있고 유용한 방법론이라고 생각한다. 역사적 연구방법은 과거에 일어났던 일을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찾아내고 그것을 비판적으로 평가해서 어떤 일이 일어났는가는 정확히 기술하는 동시에 그 일들 사이의 관계성을 추출해 내는 방법이다. ‘정치인의 역할저력(심층동인)’ 등을 연구하는 국제관계사 방법론이나 실증주의적인 이론적 분석(theoretical analysis)’의 유용성은 인정할 수 있지만, 이들 방법론은 사실 확인 작업을 한 연후에 적용해야 한다. 사실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역사연구의 초보적 전제이기 때문이다. 철저한 자료수집을 토대로 사실관계를 발굴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균형 있는 해석, 실증적인 분석과 연구를 하는 일이 그 무엇보다도 선행되어야 할 작업 영역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론적 방법론을 제한적으로 원용하는 수준에 그치고자 한다.

12·12를 자행했고 광주민주화운동을 진압했던 전두환의 정치참여에 대해 미국은 결코 긍정적으로 보지 않았으므로 그를 제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그렇지만 북한의 악용과 소련의 영향력 확대 등을 우려해 도상작전으로 끝났다. 결국 그의 집권을 막으려는 무리한 시도는 밖으로 표출되지 않았다. 다만 미국은 신군부의 약점을 지렛대로 삼아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하려 했다. 전두환은 미국의 이런 자제된 영향력을 적절히 제어하고 이용해 집권에 성공했다. 전두환은 미국과 많은 갈등을 겪었지만 결국은 최후의 승리자가 되었던 것이다.

미국은 결과적으로 전두환 정부를 묵인했지만 아무런 시도도 하지 않고 시종일관 묵인만 했던 것은 아니라는 점을 1차자료로 확인했으므로 한국현대사의 새로운 사실을 규명했다고 할 수 있다. 즉 민주주의의 발전(정치발전; 민주화)이라 맥락에서 전두환 정부의 출현이 바람직스럽지 않다는 점을 미국도 충분히 인지했으며 다만 내정간섭이라고 비난받을 수 있는 점을 의식해 한국군 인사를 동원해 배후에서 움직였으나 여의치 않았던 것이다. 19801월말부터 2월에 미국은 전두환 제거를 위한 역쿠데타를 모의하는 장군들과 직접 접촉해 후원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그 위험성이 크며 무엇보다도 대안이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아 후원을 포기했다. 19806월 말에도 한국군 내부에 제2차 역쿠데타 모의가 미국에 의해 포착되었으나 이번에는 후원 자체를 논의하지 않고 방관만 했다. 19807월과 9, 그리고 11월에는 카터 대통령이 집착했던 김대중 구명을 위한 방법의 차원에서 전두환 제거공작(주한미군철수, -북 관계 개선 등의 북한변수 동원)이 다시 강력하게 논의되었으나 전두환이 김대중 사형집행을 철회해 버려 이 역시 도상작전에 그쳤다. 이렇게 도상작전에 그친 것은 미국 정부가 가지고 있는 힘의 한계 때문이라고 여겨지기도 한다. 1980년 당시 미국은 한국국내정치를 좌우하기에는 버거웠다는 시각도 있다. 따라서 1948년 정부수립 때와 같이 미국의 힘에 한계가 거의 없었던 상황과는 달리 한국국내정치도 상대적으로 자율성을 획득했다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1987년 미국은 적극적으로 개입해 전두환의 집권연장을 제어했으며 1980년 전두환제거공작이 우회적으로 결실을 맺었다. 1980년 광주에서의 시위가 큰 희생을 낳았지만 국지적인 차원에서 진압된 반면에 19876월항쟁은 광주와 같은 큰 희생은 없었지만 전국적인 범위에서 훨씬 대규모로 시위가 벌어졌으므로 미국은 시위 확산이 공산화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고 판단해 적극 개입했다. 1987년 당시 신군부의 힘은 1980년보다 더욱 신장되었던 상황이었지만 국민들의 힘은 신군부의 힘을 압도했던 상황이었다. 따라서 냉전 시대 미국이 한국에 대해 가졌던 힘의 한계는 상황에 따라 그리고 한국국민들과 최고지도자들의 역관계에 따라 가변적으로 정해졌다고 할 수 있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I. 서론

II. 카터 대통령 취임 이전 한국문제를 보는 그의 시각 형성: 김일성과의 접촉-주한미군철수론을 중심으로

III. 12-12와 미국

IV. 미국의 전두환 제거작전, 19801월 말-2월 초

V. 광주민주화운동과 미국의 전두환정권 묵인

VI. 결론: 정권교체기 미국의 対韓 영향력과 그 한계

연구결과

197912·12사태 직후 1980년 초 한국 국내에서 역쿠데타 논의에 연계된 미국의 전두환 장군 제거 계획이 수립된 사실에 대해서 당시에는 극비였으므로 알려진 바가 별로 없었으며 지금도 그 전모가 규명되지는 않고 있다. 따라서 원자료를 바탕으로 전두환 제거계획에 대한 사실규명을 시도했다. 세계 각국에 미친 미국 세계전략과 한국의 최고지도자 공작과의 비교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미국과 한국의 외교문서 등 1차 자료에 기반해 사실을 규명했고 비교적 시각에서의 의미 부여와 연결되는 디딤돌을 놓는 역할을 하고자 했다.

참고문헌

1. 자료
대한민국외교통상부. “제17차 외교문서 공개(1979년도 문서).” 2010년 2월 22일.
대한민국외교통상부. “제18차 외교문서 공개(1980년도 문서).” 2011년 2월 20일.
대한민국재향군인회 (편). 『12·12, 5·18 実録』. [서울]: 대한민국재향군인회 호국정신선양운동본부, 1997. 
박두식. ????최근 비밀 해제된 미 외교문서에 나타난 박정희 핵개발 저지공작.????『월간 조선』(1998년 11월호), pp. 166-85.
이흥환 (편). 『미국 비밀 문서로 본 한국현대사 35장면』. 서울: 삼인, 2003.
『전두환 대통령 서신철』. 전9건, 639건, 대통령기록관.
조동준. “1979~80년 미 국무부 비밀 외교문서 4천 페이지 철저 분석: 전두환 카터를 농락하다, 미국은 신군부에게 상황의 주도권을 빼앗기고 끌려다녔다.” 『월간조선』 (1996년 8월), pp. 336-387.
中央情報部 (編).『美国의 対韓関係 資料集: 学界編』. 서울: 中央情報部, 1976.
『최규하 대통령 면접인사기록부』. (1980. 1. 1-5. 28), 대통령기록관.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위원회.『1970年代 民主化運動Ⅰ-Ⅴ』. 서울: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1987. 
韓美関係調査実務委員会.『韓美関係諸問題의 背景과 真相: 美下院 国際関係委員会 国際機構小委의「韓美関係調査報告書」에 対한 検討』. 서울: 韓美関係調査実務委員会, 1978.

Digital National Security Archive(DNSA), “The United States and the Two Koreas from Nixon to Clinton (1969-2000).”
Declassified Document Reference System, made by Gale co., US Library of Congress.
Don Oberdorfer File, National Security Archives,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국사편찬위원회.
Jimmy Carter Library,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Historical Materials in the Jimmy Carter Library. 1st ed., Atlanta, Georgia: Jimmy Carter Library,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1992. 
Jimmy Carter, United States, Office of the Federal Register. Public Papers of the Presidents of the United States: Jimmy Carter: Containing the Public Messages, Speeches, and Statements of the President, January 20, 1977 to January 20, 1981. Washington, D. C.: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77-1982.
US Department of State, "Telegram," October 1974-January 1976, National Archives.
U. S. House. Committee on Foreign Relations. U. S. Troop Withdrawal From The Republic of Korea: An Update, 1979. Washington: U. 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79.
U. S. House of Representatives, the Subcommittee o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of the Committee on International Relations. Investigation of Korean-American Relations. 95th Congress, 2nd Session, Washington, D. C.: USGPO, Oct. 31, 1978; 미하원국제관계위원회 국제기구소위원회 (편). 『프레이저 보고서』. 서울대학교 한-미관계연구회 (역), 서울: 실천문학사, 1986.

2. 회고록, 일지류
글라이스틴, 윌리엄 H.(William H. Gleysteen, Jr.). 『알려지지 않은 역사: 전 주한미국대사 글라이스틴 회고록』 (Massive Entanglement, Marginal Influence: Carter and Korea in Crisis). 황정일 (역), 서울: 중앙 M&B, 1999.
글라이스틴, 윌리엄-안재훈. “광주사태 당시 주한미국대사 윌리엄 글라이스틴의 증언: 미국은 사과할 일이 없다.” 『신동아』 (1985년 7월), pp. 318-323.
김재홍 (편).『박정희살해사건 비공개진술』. 전2권, 서울: 東亜日報社, 1994. 
김정렴. 『아 박정희: 김정렴 정치회고록』. 서울: 중앙M&B, 1997.
김정렴. 『한국경제정책30년사: 김정렴회고록』. 서울: 중앙일보사, 1990.
金鍾驩. “맥도널드 現代史 証言: 幕後에서 본 韓美관계 47년.” 『月刊朝鮮』 (1992년 9월).
金璡.『青瓦台비서실: 육성으로 들어본 朴正煕시대의 政治権力 秘史』. 서울: 중앙일보사, 1992.
金炯旭-朴思越.『金炯旭 회고록.』. Ⅰ-Ⅲ, 서울: 아침, 1985. 
맥도널드, 도널드 S. “한․미관계의 연구: 미국인이 본 한국: 과거와 현재 <特輯>.” 『현대사회』 (1986년 6월).
朴普煕.『나는 자랑스러운 한국인: 朴普煕씨의 美議会 証言』. 서울: 成和社, 1978.
박정희. 『국가와 혁명과 나』. 서울: 향문사, 1963.
박정희. 『국가와 혁명과 나』. 해설판, 서울: 고려서적, 1965.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의장 대통령권한대행 박정희장군담화문집, 自 1961년 7월 至 1963년 12월』. 서울: 대통령비서실, 1965.
박정희. 『민족의 저력』. 서울: 광명출판사, 1971.
박정희. 『민족중흥의 길』. 서울: 광명출판사, 1978.
박정희. 『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自 1963년 12월 至 1964년 12월』. 서울: 대통령비서실, 1965.
박정희. 『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1, 최고회의편, 서울: 대통령비서실, 1973.
박정희. 『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2, 제5대편, 서울: 대통령비서실, 1973.
박정희. 『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제14집: 1977년 1월 - 12월, 서울: 대통령비서실, [1978].
박정희. 『박정희의장방미연설문집』. 서울: 국가재건최고회의공보실, 1961.
박정희. 『연설문집』. 1-12, 서울: 대통령비서실, 1965-1975.
박정희. 『우리 민족의 나갈 길』. 서울: 동아출판사, 1962.
박정희. 『조국근대화의 지표: 박정희대통령 주요연설문집』. 서울: 고려서적, 1967.
박정희. 『중단하는 자는 승리하지 못한다: 박정희대통령연설집』. 신범식 (편), 서울: 광명출판사, 1968.
박정희. 『指導者道: 革命過程에 処하여』. 서울: 국가재건최고회의, 1961.
박정희. 『指導者의 길』. 서울: [n. d.], 1963년 2월.
박정희. 『평화통일의 대도: 대통령연설문선집』. 증보판, 서울: 대한공론사, 1977.
“10월 26일의 8시간.” 『월간조선』 (1984년 11월). 
신범식 (편). 『조국의 근대화: 박정희대통령의 정치노선, 저서와 연설을 중심으로』. 서울: 동아출판사, 1965.
“10․26사건.” 『월간조선』 (1989년 11월). 
위컴, 존(John Adams Wickham, Jr.). 『12·12와 미국의 딜레마: 전 한미연합사령관 위컴 회고록』 (From the '12/12' Incident to the Kwangju Uprising: Korea on the Brink, 1979-1980). 김영희 (감수), 유은영 (외 공역), 서울: 중앙 M&B, 1999.
이동원.『대통령을 그리며』. 서울: 고려원, 1992.
장태완. 『12·12쿠데타와 나』. 서울: 명성출판사, 1993.
정승화. 『12·12사건 정승화는 말한다』. 서울: 까치, 1987.
최보식-전재국. “全斗煥 전 대통령의 장남 全宰國의 심야토로 <인터뷰>.” 『월간조선』 (1996년 1월).

Brzezinski, Zbigniew. Power and Principle: Memoirs of the National Security Adviser, 1977-1981. New York: Farrar, Straus, Giroux, 1983.
Carter, Jimmy. Why not the Best?  Nashville, Tenn.: Broadman Press, 1975; Carter, Jimmy.『지미 카터 自敍傳: 왜 最善을 다하지 않는가?』. 曺圭昌 (譯), 서울: 亞細亞開發社, 1977.
Carter, Jimmy, with an Introduction by Douglas Brinkley. Why Not the Best?: The First Fifty Years. Fayetteville: University of Arkansas Press, 1996[originally published in 1975].
Carter, Jimmy. Carter on the Arts. New York: ACA, 1977.
Carter, Jimmy. A Government as Good as Its People. New York: Simon and Schuster, 1977; Fayetteville, Arkansas: The University of Arkansas Press, 1996. 
Carter, Jimmy. The Spiritual Journey of Jimmy Carter, in his own words. New York: Macmillan, 1978.
Carter, Jimmy. Public Lecture. Lagos, Nigeria: The Institute, 1978.
Carter, Jimmy.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remarks]. [Washington, D.C.]: Department of State, for sale by the Supt. of Docs.,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78.
Carter, Jimmy. SALT II: The Path of Security and Peace. Washington, D.C.: Bureau of Public Affairs, Office of Public Communication, 1979.
Carter, Jimmy. Keeping Faith: Memoirs of a President. New York: Bantam Books, 1982; Fayetteville, AR : University of Arkansas Press, 1995; Carter, Jimmy.『카터 回顧録』. 上, 下, 中央日報社 論説委員室 (譯), 서울: 中央日報社, 1983. 대통령 재임시절 회고
Carter, Jimmy. Negotiation: The Alternative to Hostility. Macon, GA: Mercer University Press, 1984.
Carter, Jimmy. The Blood of Abraham. Boston: Houghton Mifflin, 1985, 
Carter, Jimmy. The Blood of Abraham: Insights into the Middle East. Fayetteville, Arkansas: University of Arkansas Press, 1993, 2007. 중동(中東) 문제 고찰
Carter, Jimmy. Everything to Gain: Making the Most of the Rest of Your Life. written with Rosalynn Carter, New York: Random House, 1987, 1995.
Carter, Jimmy. An Outdoor Journal: Adventures and Reflections. New York: Bantam Books, 1988.
Carter, Jimmy. Turning Point: A Candidate, a State, and a Nation Come of Age. New York: Times Books, 1992.
Carter, Jimmy. Talking Peace: A Vision for the Next Generation. New York: Dutton Children's Books, 1993, 1995; 『평화를 위하여: 다음 세대를 위한 비전』. 주태산 (역), 서울: 제우미디어, 1994. 자신의 평화론 설파
Carter, Jimmy. Always a Reckoning, and Other Poems. New York: Times Books, 1995.
Carter, Jimmy. The Little Baby Snoogle-Fleejer. illustrated by Amy Carter, New York: Time Books, Random House, 1995.
Carter, Jimmy. Living Faith. New York: Times Books, 1996; 『살아있는 신앙』. 김일우 (역), 서울: 아가페, 1997.
Carter, Jimmy. Sources of Strength: Meditations on Scripture for a Living Faith. New York: Times Books, Random House, 1997; 『사랑의 실천: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이 들려주는 삶의 철학』. 이종인 (역), 서울: 동방미디어, 1998. 종교적 명상록
Carter, Jimmy. The Virtues of Aging. New York: Ballantine Pub. Group, 1998; 『나이 드는 것의 미덕』. 김은령 (역), 서울: 끌리오, 1999.
Carter, Jimmy. Atlanta: The Right Kind of Courage. Memphis, Tenn.: Towery Pub., 2000.
Carter, Jimmy. An Hour Before Daylight: Memories of a Rural Boyhood. New York: Simon & Schuster, 2001; 『해뜨기 전 한 시간: 남부 조지아의 한 시골 소년을 대통령으로 만든 어린 시절의 비밀』. 김정신 (역), 서울: 미다스북스, 2003.
Carter, Jimmy. Christmas in Plains: Memories. New York: Simon & Schuster, 2001.
Carter, Jimmy. The Personal Beliefs of Jimmy Carter. New York: Three Rivers Press, 2002.
Carter, Jimmy. The Nobel Peace Prize Lecture: Delivered in Oslo on the 10th of December, 2002. New York: Simon & Schuster, 2002.
Carter, Jimmy. Sharing Good Times. New York: Simon & Schuster, 2004; 『아름다운 노년』, 김은령 (역), 서울: 생각의나무, 2005. 약식 자서전
Carter, Jimmy. Our Endangered Values: America's Moral Crisis. New York: Simon & Schuster, 2005; 『예수님이 대통령이라면』. 황진아 (역), 서울: 두란노, 2006.
Carter, Jimmy. Palestine: Peace not Apartheid. New York: Simon & Schuster, 2006.
Carter, Jimmy. Beyond the White House: Waging Peace, Fighting Disease, Building Hope. New York: Simon & Schuster, 2007; 『진정한 리더는 떠난 후에 아름답다: 지미 카터, 퇴임 후의 삶』. 이종훈 (역). 서울: 중앙북스, 2008.
Carter, Jimmy. A Remarkable Mother. New York: Simon & Schuster, 2008; 『마더 릴리언의 위대한 선물』. 나현영 (역), 서울: 에버리치홀딩스, 2011.
Carter, Jimmy. We Can Have Peace in the Holy Land: A Plan that Will Work. New York: Simon & Schuster, 2009.
Carter, Jimmy. White House Diary. New York: Farrar, Straus and Giroux, 2010.
Carter, Jimmy. Through the Year with Jimmy Carter: 366 Daily Meditations from the 39th President.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1; 『지미 카터의 위즈덤: 90년 인생에서 끌어 올린 지미 카터의 영성과 지혜 365』. 서울: 생명의말씀사, 2012.
Carter, Jimmy. A Call to Action: Women, Religion, Violence, and Power. New York: Simon & Schuster, 2015.
Carter, Jimmy. A Full Life: Reflections at Ninety. New York: Simon & Schuster, 2015.
Carter, Jimmy with Don Richardson. Conversations with Carter. Boulder, CO: Lynne Rienner Publishers, 1998.
Gleysteen, William H. Jr. "Korea: A Special Target of American Concern." in David D. Newsom, ed., The Diplomacy of Human Rights,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86, pp. 85-99.
Gleysteen, William H. Jr. Massive Entanglement, Marginal Influence: Carter and Korea in Crisis. 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ion Press, 1999.
Wickham, John Adams, Jr. Korea on the Brink, 1979-1980: From the '12/12' Incident to the Kwangju Uprising. Washington, DC: National Defense University Press, 1999. 

3. 연구물
(1) 단행본
강성철. 『주한미군』. 서울: 일송정, 1988. 
고도 다까오. 『군부인맥』. 편집부 (역), 서울: 지양사, 1987.
곽태환. 『한-미관계40년(1948-1988)』. 서울: 경희대학교 출판부, 1990.
『광주민중항쟁』. 서울: 돌베개, 1990.
『광주민중항쟁연구』. 서울: 사계절, 1990.
具永禄 (외).『韓国과 美国: 過去․現在․未来』. 서울: 博英社, 1983.
국제역사학회의 한국위원회 (편). 『한미수교100년사』. 서울: 국제역사학회의 한국위원회, 1982.
권용립. 『미국대외정책사』. 서울: 민음사, 1997.
国防大学院 安保問題研究所.『安保問題研究』. 서울: 국방대학원 안보문제연구소, 1972-1980. 
国土統一院 政策企劃室.『駐韓美地上軍撤収 以後의 韓美関係 展望』. 서울: 国土統一院, 1978. 
国土統一院 政策企劃室.『中共의 台湾政策分析 및 中共․台湾 関係展望』. 서울: 国土統一院, 1979. 
国土統一院政策企劃室 (편).『(周邊環境 与件)카터 行政府의 道徳外交政策과 그것이 韓国에 미치는 影響』. [서울]: 国土統一院政策企劃室, 1977. 
기호열.『CIA 박정희 암살 공작: 작전명 0012』. 서울: 청맥, 1996. 
김대곤. 『김재규 X파일』. 서울: 도서출판 산하, 2005.
김덕중-안병준-임희섭 (공편), 『한-미관계의 재조명』, 서울: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1988.
김성진 (편). 『박정희시대: 그것은 우리에게 무엇이었는가』. 서울: 조선일보사, 1994.
김영명. 『고쳐 쓴 한국현대정치사』. 서울: 을유문화사, 1999.
김영명. 『한국현대정치사: 정치 변동의 역학』. 서울: 을유문화사, 1992.
金永煕.『워싱턴을 움직인 韓国人: 朴東宣사건과 統一教의 내막』. 서울: 文音社, 1980.
金裕南.『蘇聯의 第三世界戦略과 東北亜』. 第1, 2部. 서울: 外交安保研究院, 1979. 
金辰雄.『韓国人의 反美感情』. 서울: 一潮閣, 1992. 
김은숙. 『불타는 미국』. 서울: 아가페, 1988.
김정원. 『분단한국사』. 서울: 동녘, 1985.
김충식. 『남산의 부장들: 정치공작사령부 KCIA: 동아일보 연재 인기정치비화』. 1-2. 서울: 동아일보사, 1992.
김충식. 『남산의 부장들』. 개정증보판, 서울: 폴리티쿠스, 2012.
김하기. 『역사다시읽기. 부마민주항쟁』. 서울: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4.
노가원. 『264일의 쿠데타: 12.12 군사반란』. 1-2, 파주: 시아, 2017.
동아일보특별취재반 (編). 『주한미군』. 서울: 東亜日報社, 1990.
文昌克.『한미 갈등의 해부』. 서울: 나남, 1994.
『민족과 함께 역사와 함께: 박정희대통령-그 인간과 사상』. 서울: 서울신문사, 1978.
박실. 『박정희 대통령과 미국 대사관』. 서울: 백양출판사, 1993.
박영호-김광식 (외).『한미관계사』. 서울: 실천문학사, 1990.
朴雄鎮.『冷戦史』. 서울: 博英社, 1979.
朴在圭.『美国의 対아시아 政策』. 서울: 法文社, 1976.
Shagan, Steve.『π=10.26回歸』. 김자동 (역), 서울: 일월서각, 1984.
서울新聞社.『駐韓美軍 30年: 1945-1978年』. 서울: 杏林出版社, 1979.
선우학원. 『한-미관계 50년사: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 서울: 일월서각, 1997.
성경륭. 『체제변동의 정치사회학』. 서울: 한울출판사, 1995.
송효빈. 『가까이서 본 박정희 대통령』. 서울: 휘문출판사, 1977.
신욱희. 『순응과 저항을 넘어서: 이승만과 박정희의 대미정책』.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양동안-유광호 (외). 『現代韓国政治史』. 성남: 韓国精神文化研究院, 1987.
양한. 『김형욱·김재규 최후의 날』. 서울: 알문화사, 1987.
오창헌. 『유신체제와 현대한국정치』. 서울: 오름, 2001.
外務部 (編). 『韓国外交 30年: 1948-1978』. 서울: 外務部, 1979.
柳錫烈.『美․北韓 関係와 韓国의 安保』. 서울: 外交安保研究院, 1978.
柳永益 (외).『한국인의 대미인식: 역사적으로 본 형성과정』. 서울: 민음사, 1994.
李敬南.『이 歷史의 순간들: 4·19 5·16 10·26秘話』. 서울: 창민사, 1982.
李基鐸.『韓半島와 国際政治: 理論과 実際』. 서울: 日新社, 1988.
이삼성. 『미국의 대한정책과 한국의 민족주의: 광주항쟁-민족통일-한미관계』. 서울: 한길사, 1993.
李祥雨.『美国이냐 米帝냐: 5.16에서 10.26까지』. 서울: 중원문화, 1987. 
이상우.『박정희, 파멸의 정치공작』. 서울: 동아일보사, 1993.
李祥雨.『<秘録>朴正煕 時代』. 1-3, 서울: 중원문화, 1986.
이상우. 『제3공화국외교비사』. 서울: 동아일보사, 1984.
李承憲.『亜細亜太平洋 協調体制論: ASPAC을 中心한 研究』. 서울: 新新文化社, 1975.
이양우. 『역사의 증언』. 서울: 시사임플로이먼트뉴스센터, 1980.
李泳禧.『転換時代의 論理: 아시아․中国․韓国』. 서울: 創作과 批評社, 1979.
李鍾律.『転換期의 世界와 韓国: 現代 政治의 視角』. 서울: 塔出版社, 1979.
李昊宰.『冷戦時代의 克服』. 서울: 東亜日報社, 1982.
전재호. 『반동적 근대주의자 박정희』. 서울: 책세상, 2000. 
鄭鎔碩. 『미국의 대한정책: 1845-1980』. 증보판, 서울: 일조각, 1990.
鄭鎔碩.『카터와 南北韓』. 서울: 檀国大学校出版部, 1979. 
정진석. 『총성 없는 전선』. 서울: 한국문원, 1999.
『제5공화국 정치비사』. 2, 서울: 중원문화, 1987. 
조갑제. 『박정희의 결정적 순간들』. 서울: 기파랑, 2009.
趙世衡.『1980年代: 韓国과 지미 카터』. 서울: 民音社, 1977.
조진경 (외).『한국사회의 성격과 운동』. 서울: 공동체, 1987.
최규장. 『외교 정책 결정 과정론: 카터의 주한미군 철수 결정 백지화 과정 연구』. 서울: 을유문화사, 1993.
하영선. 『한반도 핵무기와 세계질서』. 서울: 나남, 1991.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1970년대 민주화 운동과 기독교』. 서울: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1983.
한국민주노동자연합 (편).『한국노동운동사: 1970년대 이후』. 서울: 동녘, 1994.
한국역사연구회 현대사연구반. 『한국현대사』. 3: 1960-70년대 한국사회와 변혁운동, 서울: 풀빛, 1991.
한국역사연구회 현대사연구반. 『한국현대사』. 4: 1980년대 한국사회와 민족민주운동, 서울: 풀빛, 199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제1차 한국현대사학술토론회』.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정치·경제연구실 (편), 『한국자본주의의 형성과 전개』.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한국정신문화연구원-The Wilson Center (공편). 『한-미 수교 1세기의 회고와 전망』. 성남: 한국정신문 화연구원, 1983.
한국정치문제연구원. 『政風 제1권 장기집권의 비극적 종말』. 서울: 창민사, 1986.
한국정치연구회 (편). 『박정희를 넘어서』. 서울: 푸른숲, 1998.
한국정치연구회 정치사분과. 『한국현대사 이야기주머니』. 서울: 녹두, 1993.
韓明華.『韓美関係의 政治経済: 同盟이냐 従属이냐』. 서울: 평민사, 1986.
韓培浩. 『韓国政治変動論』. 서울: 法文社, 1994.
한승조. 『박정희 붐, 우연인가 필연인가』. 서울: 말과 창조사, 1999.
한승주 (편). 『전환기의 한미관계』. 서울: 서울국제포럼, 1988.
홍석률. 『분단의 히스테리: 공개문서로 보는 미중관계와 한반도』. 파주: 창비, 2012.
황수현.『한미동맹 갈등사: 70년대를 중심으로』. 파주: 한국학술정보, 2011. 

岸田純之助, 関寛治, 武者小路公秀 (共編).『70年代の国際関係: 多極化時代のシスチム․アプロ-チ』. 東京: ぺりかん社, 1970.
村田晃嗣. 『大統領の挫折: カーター政権の在韓米軍撤退政策』. 東京: 有斐閣, 1998.

Abernathy, M. Glenn and Dilys M. Hill, Phil Williams. The Carter Years. New York: St. Martin's Press, 1984.
Ambrose, Stephen E.『국제질서와 세계주의』. 권만학 (역). 서울: 을유문화사, 1996.
Ampbell, Colin. Managing the Presidency: Carter, Reagan, and the Search for Executive Harmony. Pittsburgh, PA: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1986.
Andrew, Christopher. For the President's Eyes Only: Secret Intelligence and the American Presidency from Washington to Bush. New York: Harper & Collins, 1995.
Balaam, David and Michael Veseth.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1996.
Bernstein, Carl and Bob Woodward. All the President's Men. New York: Warner Books, [1976].
Boettcher, Robert. Gifts of Deceit: Sun Myung Moon, Tongsun Park, and the Korean Scandal.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1980.
Brauer, Carl M. Presidential Transitions: Eisenhower through Reaga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Brinkley, Douglas. The Unfinished Presidency: Jimmy Carter's Journey Beyond White House. New York: Viking Penguin, 1999.
Brown, Leslie H. and Charles A. Sorrele.『美国의 아시아 安保政策과 通常戦力』. 権文術-金光石-金鍾輝 (共訳), 서울: 国防大学院 安保問題研究所, 1979.
Brzezinski, Zbigniew.『国際政治의 新論理: 브레진스키의 政治哲学』. 朴在圭 (訳), 서울: 博英社, 1977.
Brzezinski, Zbigniew.『美国이 본 東北亜』. 申河澈-李成圭 (共訳), 서울: 물결, 1977. 
Buss, Claude A. The United States and the Republic of Korea: Background for Policy. Stanford, Calif.: Hoover Institution Press, Stanford University, 1982. 
Campagna, Anthony S. Economic Policy in the Carter Administration. Westport, Conn.: Greenwood Press, 1995.
Carpenter, William A. et al.『美国의 対東北亜戦略』. 権文術 (外 共訳), 서울: 国防大学院 安保問題研究所, 1979.
Clare, Michael T. American Arms Supermarket. Austin, TX: University of Texas Press. 1984.
Clinton, W. David. The Two Faces of National Interest. Baton Rouge: Louisiana State University Press, 1994. 
Collier, Peter and David Horowitz. The Rockefellers: An American Dynasty.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1976.
Critchlow, Donald T. The Brookings Institution, 1916-1952: Expertise and the Public Interest in a Democratic Society. De Kalb, Illinois: Northern Illinois Univ. Press, 1985. 
Dolbeare, Kenneth M. Patricia Dolbeare. American Ideologies: The Competing Political Beliefs of the 1970s. Chicago: Markham Pub., 1971.
Donaldson, Robert H. The Soviet-Indian Alignment: Quest for Influence. Washington, D. C.: U. S. Department of Commerce, 1979.
Dougherty, James E. and Robert Louis Pfaltzgraf, Jr.『미국외교정책사』. 이수형 (역). 서울: 한울 아카데미, 1997.
Dumbrell, John. American Foreign Policy: Carter to Clinton. London: MacMillan, 1997.
Duner, Bertil. Military Intervention in Civil Wars: the 1970s. New York: St. Martin's Press, 1985.
Hasan, Parvez. Korea: Problems and Issues in a Rapidly Growing Economy. Baltimore: The World Bank, 1976.
Holsti, Ole and Randolph Siverson, Alexander George, ed. Change in the International System. Boulder, Colo.: Westview, 1980.
Howe, Russell Warren and Sarah Trott, The Power Peddlers: How Lobbyists Mold America's Foreign Policy. New York: Doubleday, 1977.
Hurst, Steven. The Carter Administration and Vietnam. London: Macmillan Press, 1996.
Jones, Charles O. The Trusteeship Presidency: Jimmy Carter and the United States Congress. Baton Rouge: Louisiana State University Press, 1988.
Jordan, Hamilton. Crisis: The Last Year of the Carter Presidency. New York: Putnam, 1982.
Kellerman, Barbara. The Political Presidency: Practice of Leadership.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84.
Kim, Byung-Lo Philo. Two Koreas in Development: A Comparative Study of Principles and Strategies of Capitalist and Communist Third World Development. New Brunswick, N. J.: Transaction, 1992.
Kim, Hyung-A. Korea's Development under Park Chung Hee: Rapid Industrialization, 1961-1979. London: RoutledgeCurzon, 2004; 김형아. 『박정희의 양날의 선택 (유신과 중화학공업)』. 신명주 (역), 서울: 일조각, 2005.
Kissinger, Henry A.『데탕트의 虚実: 美国의 外交戦略』. 呂永茂 (訳), 서울: 金蘭出版社, 1976. 
Lake, Anthony. The Vietnam Legacy: The War, American Society and the Future of American Foreign Policy. New York: New York University Press[A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Book], 1976. 
Lieberthal, Kenneth G.『中蘇対立의 戦略的 評価』. 서울: 国防大学院 安保問題研究所, 1980.
MacDonald, Donald Stone. The Koreans: Contemporary Politics and Society. Boulder, CO: Westview Press, 1988.
McCormick, J. Thomas. America's Half-Century: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in the Cold War and After. Baltimore, M.D.: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5.
Martel, Gordon.『미국외교정책 1890 - 1993』. 정진위 (편역), 서울: 博英社, 1996.
Morris, Kenneth E. Jimmy Carter, American Moralist. Athens: University of Georgia Press, 1996.
Muravchik, Joshua. The Uncertain Crusade: Jimmy Carter and the Dilemmas of Human Rights Policy. Lanham: Hamilton Press, 1986.
Neustadt, Richard E. Presidential Power: The Politics of Leadership from FDR to Carter. New York: Wiley, 1980.
Oberdorfer, Don. The Two Koreas: A Contemporary History. Reading, Mass.: Addison-Wesley, 1997; 『두개의 코리아』, 서울: 중앙일보사, 1998.
Oberdorfer, Don. The Two Koreas: A Contemporary History. revised and updated, n. d.: Basic Books, 2001; 『두개의 한국』, 이종길 (역), 고양: 길산, 2002.
Orman, John. Comparing Presidential Behavior: Carter, Reagan, and the Macho Presidential Style. New York: Greenwood, 1987.
Oye, Kenneth A. Donald Rothchild, Robert J. Lieber, eds. Eagle Entangled: U. S. Foreign Policy in a Complex World. New York: Longman, 1979.
Pechman, Joseph A. Setting National Priorities: The 1979 Budget. Washington, D. C.: The Brookings Institution, 1978.
Ranney, Austin. The American Elections of 1980. Washington, D.C.: 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for Public Policy Research, 1981. 
Robertson, Myles L. C. Soviet Policy towards Japan: An Analysis of trends in the 1970s and 1980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Rosenbaum, Herbert D. and Alexej Ugrinsky, eds. Jimmy Carter: Foreign Policy and Post-Presidential Years. Westport, Conn.: Greenwood Press, 1994.
Rosenbaum, Herbert D. and Alexej Ugrinsky. The Presidency and Domestic Policies of Jimmy Carter. Westport, Conn.: Greenwood Press, 1994.
Ross, Robert S. The Indochina Tangle: China's Vietnam Policy, 1975-1979.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8.
Rourke, John T. and Ralph G. Carter and Mark A. Boyer. Making American Foreign Policy. Guilford: The Dushkin Pub., 1994.
Rozell, Mark J. The Press and the Carter Presidency. Boulder: J. C. B. Mohr, 1989.
Sampson, Anthony. The Seven Sisters: The Great Oil Companies and the World They Made. London: Hodder and Stoughton, 1975.
Scott-Stokes, Henry and Lee Jai Eui, eds. The Kwangju Uprising: Eyewitness Press Account of Korean's Tiananmen. Armonk, NY: M. E. Sharpe, 2000.
Shoup, Laurence H. The Carter Presidency and Beyond: Power And Politics in the 1980s. Palo Alto: Ramparts Press, 1980.
Silva, Peer de. Sub-Rosa: The CIA and the Use of Intelligence. New York: New York Times Books, 1978; 피어 드 실바, 『서브로자: 미국 CIA 비밀공작부』, 이기홍 (역), 서울: 인문당, 1983.
Skidmore, David. Reversing Course: Carter????s Foreign Policy, Domestic Politics, and the Failure of Reform. Nashville: Vanderbilt University Press, 1996.
Sklar, Holly ed. Trilateralism: The Trilateral Commission and Elite Planning for World Management. Boston: South End Press, 1980. 
Smith, Gaddis. Morality, Reason, and Power: American Diplomacy in the Carter Years. New York: Hill and Wang, 1986.
Spear, Joanna. Carter and Arms Sales: Implementing the Carter Administrations Arms Transfer Restraint Policy. New York, N.Y.: St. Martin????s Press[Southampton studies in international policy], 1995.
Strumpel, Burkhard. Industrial Societies after the Stagnation of the 1970s: Taking Stock From A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Berlin: Walter de Gruyter, 1989.
Westing, Arthur H. Global Resources and International Conflict: Environmental Factors in Strategic Policy and Ac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Wheeler, Leslie. Jimmy Who?: An Examination of Presidential Candidate Jimmy Carter: The Man, His Career, His Stands on the Issues. Woodbury, N.Y.: Barrons Educational Series, 1976.
Woo, Jung-en. The Race to the Swift: State and Finance in Korean Industrializatio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1.
Wooten, James. Dasher: The Roots of the Rising of Jimmy Carter. New York: Summit Books, 1978.

(2) 논문
강경성. “박정희정권의 재평가의 성과와 한계.” 녹두편집부 (편), 『한국사회 변동의 평가와 전망』, 서울: 녹두, 1996.
姜仁燮, “YH사건 에서 10.26사태 까지: 워싱턴 에서 본 朴政権 최후의 나날,” 『新東亜』 (1984).
길승흠. “대토론: 박정희 시대 18년 재평가.” 『월간중앙』 (1993년 6월).
김계동. “북한의 대미정책.” 양성철-강성학 (공편), 『북한외교정책』, 서울: 도서출판 서울프레스, 1995.
金圭植. “카터 行政府의 駐韓美軍撤収政策 決定過程에 관한 研究: 官僚政治的 視角에서.” 碩士学位論文, 国防大学院 国際関係専攻, 1984.
김동택. “5·18의 국제적 배경: 한미관계를 중심으로.” 광주광역시 5·18사료편찬위원회 (편), 『5·18민중항쟁사』, 광주: 광주광역시 5·18사료편찬위원회, 2001, pp. 163-190.
김명섭. “1970년대 후반기의 국제환경변화와 한미관계: 카터행정부의 외교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1970년대 후반기의 정치사회변동』, 서울: 백산서당, 1999, pp. 11-91.
김명섭, “한.미 관계에 있어서의 1980년대,” 이해영 (편), 『1980년대 혁명의 시대』, 서울: 새로운 세상, 1999.
金炳昱. “카터行政府時代의 韓美関係 研究.” 석사학위논문, 고려대정책과학대학원 国際関係専攻, 1989.
김봉중. “카터 인권외교에 대한 재조명.” 『미국사연구』 10 (1999년 11월), pp. 181-213.
김영명. “한국의 정치변동과 미국.” 『한국정치학회보』 제22집 2호 (1988).
김용복. “개발독재는 불가피한 필요악이었나.” 한국정치연구회 (편), 『박정희를 넘어서』, 서울: 푸른숲, 1998
김용직. “유신체제의 정치와 외교.” 한국역사정치연구회 김용직 (편), 『사료로 본 한국의 정치와 외교: 1945∼1979』, 서울: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2005.
김용철. “박정희의 정치적 리더쉽 연구: 리더쉽의 경직화와 그 요인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延世大学校 정치학과, 1984.
김유남. “카터행정부의 대동북아정책.” 『북한』 (1978년 7월), pp. 57-67.
김일영. “박정희체제 18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계간 사상』 (1995년 겨울).
김일영. “박정희체제 18년: 발전과정에 대한 분석과 평가.“ 『한국정치학회보』 제29집 2호 (1995).
金宗輝. “駐韓美軍減縮, 撤収에 따른 北傀의 対南戦略予測.” 国土統一院政策調査研究報告書, 77 - 12 - 1362, 서울: 国土統一院政策研究室, 1977.
김휘출, 「박정희 대통령의 대미외교 정책에 관한 연구: 한미정상회담 성명서 내용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1989.
마상윤-박원곤. “데탕트기의 한미갈등: 닉슨, 카터와 박정희.” 『역사비평』통권 86호 (2009년 2월), pp. 113~139. 
마상윤-박원곤. “데탕트기의 불편한 동맹: 박정희-닉슨·카터 정부 시기.” 『역사비평』 편집위원회 (편), 『갈등하는 동맹: 한미관계60년』, 서울: 역사비평사, 2010, pp. 68-92. 
朴奉植. “駐韓美地上軍撤収以後의 韓美関係展望.” 国土統一院政策調査研究報告書, 78 - 12 - 1546, 서울: 国土統一院政策研究室, 1978.
박선원, “냉전기 한미일관계에 대한 체계이론적 분석,” 『한국정치외교사논총』 제23집 1호 (2001년 8월).
박승호. “박정희 정부의 대미 동맹전략: 비대칭동맹 속의 자주화.”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2009.
박원곤, "1970년대 후반 한미관계: 인권과 주한미군 철수," 대한민국 외교사 연구 3차년도 프로젝트 발표문, 2018년 4월 25일.
박원곤. “1979년 12·12 쿠데타와 카터 미 행정부의 대응: 도덕외교의 타협.” 『국제정치논총』제50집 4호 (2010), pp. 81-102.
박원곤. “5.18 광주 민주화 항쟁과 미국의 대응.” 『한국정치학회보』제45집 5호 (2011), pp. 125-145.
박원곤. “미국의 대한정책 1974~1975년: 포드 행정부의 동맹정책 전환.” 『세계정치』 제31집 2호 pp. 69-99. 
박원곤. "카터 행정부의 대한정책: 10.26을 전후한 도덕외교의 적용." 『한국정치학회보』 제43집 4호 (2009), pp. 215-234.
박원곤. “카터 행정부의 대한정책 1977~1980: 도덕외교의 적용과 타협.”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외교학과, 2008.
박원곤. “카터 행정부의 도덕주의 외교와 한국정책: 1979년 카터 대통령 방한의 재해석.” 『미국학』 vol. 30 (2007), pp. 23-52.
박재규. “카터의 대한정책과 한국안보.” 『북한』 (1977년 1월), pp. 142-149.
박태균. 『우방과 제국: 한미관계의 두 신화』. 서울: 창비, 2006.
부르제진스키. “카터행정부의 외교정책기조.” 『북한』 (1978년 9월), pp. 142-149.
서정익. “판문점미류나무 사건시 미국행정부의 대응과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1985.
신현익. "박정희 대통령 서거 직후 미국의 대한정책." 『유라시아연구』 제7권 제3호 통권18호 (2010년 9월), pp. 233-258.
신현익. "전두환 군부정권 성립과정에서의 미국의 역할."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2006.
安秉萬. “駐韓美軍의 段階的撤収論: 日本의 立場.” 国土統一院政策調査研究報告書, 77 - 1 - 1133, 서울: 国土統一院政策研究室, 1977.
여현덕. “신군부권위주의체제의 등장과 정치갈등.” 한흥수 (외), 『한국정치동태론』, 서울: 오름, 1996.
옥태환. “한반도 문제를 囲繞한 미행정부와 의회의 협력과 갈등: 카터의 주한미군 철수정책과 북한 핵문제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민족통일연구원, 1998.
이경숙. “한국의 대미외교정책.” 최종기 (편), 『한국외교정책』, 서울: 한국국제관계연구소, 1988.
이광일, “박정희정권에 관한 연구현황과 과제,” 『역사와 현실』 29 (1998).
李聖錫. “카터行政府의 駐韓 美 地上軍 撤収背景에 관한 研究: 美国의 対外政策 中心으로.” 碩士学位論文, 建国大学校 大学院, 1985.
李永鎬. “駐韓美軍 減縮撤収의 時期및 形態予測과 그것이 南北韓関係에 미치는 影響.” 国土統一院政策調査研究報告書, 77 - 10 - 1182, 서울: 国土統一院政策研究室, 1977. 
이완범. “박정희정부의 교체와 미국, 1979~1980.” 한국학중앙연구원 (편), 『1980년대 한국사회 연구』, 서울: 백산서당, 2005년 5월, 13-112쪽.
이완범. “한국 정권교체의 국제정치: 1950년대 전반기 미국의 이승만 제거 계획, 후반기 미국의 이승만 후계 체제 모색과 1960년 4월 이승만 퇴진”(Syngman Rhee Regime's Change and the U.S., 1960). 『세계정치(Journal of World Politics)』 제28집 2호 (2007년 가을-겨울), 127-170쪽.
전재호. “박정희 체제의 민족주의 연구: 담론과 정책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1997.
장준갑, “제5공화국 출범과 한미관계,” 『서양사학연구』28 (2013), pp. 231-252.
장준갑·김건, “1980년대 초반(1980-1981) 한미관계 읽기,” 『미국사연구』 38 (2013), pp. 191-218.
정일준. “미국 개입의 선택성과 한계: 전두환·노태우-레이건·부시 정부 시기.” 『역사비평』 편집위원회 (편), 『갈등하는 동맹: 한미관계60년』, 서울: 역사비평사, 2010, pp. 94-128.
정성철. "역사, 사상, 이론과 동아시아: 세계정치와 동아시아 공간; 관료정치와 카터행정부의 주한미군철수정책." 『세계정치』제26권 2호 (2005), pp. 185-205.
정성철. “카터행정부의 주한미지상군 철수정책: 관료정치를 통해 본 정책의 지속과 중지.”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2005.
조갑제. “심층취재: 주한 미8군 사령부.” 상, 『월간조선』 (1988년 8월), pp. 220-256.
趙甲濟, “「龍山 합중국」의 內幕: 주한 美8軍사령부,” 下, 『月刊朝鮮』 102 (1988년 9월).
조갑제, “한국내 美CIA의 內幕,” 『月刊朝鮮』 (1986년 2월).
조관행, “카터 행정부는 왜 주한미군 철수정책을 수정하였는가? 77년 7월 10차 SCM 이후 78년 4월 21일 미의회의 승인까지를 중심으로,” 『국가전략』 제24권 4호 (2018).
조관행, “카터 행정부의 주한미군철수에 대한 미의회의 입장변화에 관한 연구: 카터 행정부 출범이후 77년 6월 미상원의 본회의 전후를 중심으로,” 『군사』제100호 (2016년 9월), pp. 303-330.
조관행, “카터 행정부의 주한미지상군 철수결정 시 북한 군사력 평가에 관한 연구,” 『군사』제81호 (2011년 12월), pp. 261-295.
조성렬, “닉슨 행정부 시기(1969.1∼1974.8) 주한미군 감축협상 연구,” 국립연구원 연구용역 과제, 2018.11.30.
최장집. “군부권위주의체제의 내부모순과 변화의 동학 1972-1996.” 『한국현대정치의 구조와 변화』, 서울: 까치, 1986.
崔昌潤. “카터行政府의 道徳外交政策과 그것이 韓国에 미치는 影響.” 国土統一院政策調査研究報告書, 77 - 10 - 1194, 서울: 国土統一院政策研究室, 1977.
최희봉. “카터 미 대통령의 인권정책과 한-미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1983.
한국기독청년협의회. “[카터대통령방한반대]성명서.” 1979년 5월 18일, http://archives.kdemo.or.kr/View?pRegNo=00838076 (검색일: 2012년 4월 25일).
헤이즈, 피터. “韓国の核開発.” 『世界』 (1992年 12월).
형은숙. “미국의 대한(対韓) 영향력의 한계: 이승만 정부 시기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건국대 정치학과, 1998.
홍성걸, “박정희 시대의 국제관계와 외교정책,” 우철구 (외), 『청소년을 위한 우리 역사 바로 보기』, 서울: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2006.
홍성걸, “박정희의 핵개발과 한미관계,” 정성화 (편), 『박정희시대 연구의 쟁점과 과제』, 서울: 선인, 2005, pp. 257-295.

Jang, Ha Won. "Phases of Capital Accumulation in Korea and Evolution of Government Growth Strategy, 1963-1990." D. Phil Thesis, University of Oxford, 1995.
Lee, Wan Bom, "Korea-Japan Conflicting Relationship under the U. S. Alliance in the 1970s: Kim Dae-Jung Kidnapping Incident and the Assassination Attempt on Park Chung Hee," International Workshop on the Cold War and the Two Koreas: Research on ROK & DPRK Cold War Era Foreign Relations and Its Significance to International Cold War History, Sponsored by the Woodrow Wilson International Center for Scholars and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May 2, 2008, pp. 89-120.
Lee, Wan Bom, “The Korean Military Coup and the U. S., 1961~1963,” International Workshop on The Cold War and the Korean Peninsula: The Domestic Politics and Foreign Relations of North and South Korea, Sponsored by the Woodrow Wilson International Center for Scholars, Washington, USA, University of North Korean Studies, Seoul, ROK, and Beijing University, Beijing, PRC, Friday, May 18, 2007.
Ok, Tae Hwan. "President Carter's Korean Withdrawal Policy." Ph. D. Dissertation, Loyola University of Chicago, 1990. 
Park, Sun-won. "Belief Systems and Strained Alliance: The Impact of American Pressure on South Korean Politics and the Demise of Park Regime in 1979." Korea Observer, Vol. 34, No. 1 (Spring 2003), pp. 87-112.
Park, Sun-won. “The Dynamics of Triangular Intra-alliance Politics: Political Interventions of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oward South Korea in Regime Transition 1979-1980.” D. Phil Thesis, University of Warwick, 2000.
Peterson, Mark. “Americans and the Kwangju Incident: Problems in the Writing of History.” Donald N. Clark, ed., The Kwangju Uprising, Boulder, CO: Westview, 1988, pp. 52-64.
Peterson, Mark. "The Kwangju Resistance Movement, May, 1980: Some American Perspectives." 5.18 학술심포지움 발표논문, 5.18기념재단 주최, 한국정치학회 주관, 1997년 5월 8일, Seoul, Korea. 
Shorrock, Tim. "Kwangju Diary: The View from Washington." Lee Jai-eui, Kwangju Diary: Beyond the Darkness of the Age, translated by Kap Su Seol and Nick Mamatas, Los Angeles: UCLA Asian Pacific Monograph Series, 1999, pp. 151-172. 
Shorrock, Tim. "The US Role in Korea in 1979 and 1980." 1996 in 
http://www.kimsoft.com/korea/kwangju3.htm
 (검색일: 2004년 4월 15일). 

4. 참고도서: 연표 등 색인류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부 주요문헌, 1948-1961』. 서울: 외무부, 1962.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부 주요문헌, 1962』. 서울: 외무부, 1963.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부 주요문헌, 1963』. 서울: 외무부, 1964.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부 주요문헌, 1964』. 서울: 외무부, 1965.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부 주요문헌, 1965』. 서울: 외무부, 1966.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부 주요문헌, 1966』. 서울: 외무부, 1967.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부 주요문헌, 1967』. 서울: 외무부, 1968.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부 주요문헌, 1968』. 서울: 외무부, 1969.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부 주요문헌, 1969』. 서울: 외무부, 1970.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부록 주요문헌, 1970』. 서울: 외무부, 1971.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부록 주요문헌, 1972』. 서울: 외무부, 1973.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부록 주요문헌, 1973』. 서울: 외무부, 1974.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부록 주요문헌, 1974』. 서울: 외무부, 1975.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부록 주요문헌 및 조약, 1975』. 서울: 외무부, 1976.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부 주요문헌, 1976』. 서울: 외무부, 1977.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부 주요문헌, 1977』. 서울: 외무부, 1978.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부-주요문헌 및 조약, 1978』. 서울: 외무부, 1979.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부-주요문헌 및 조약, 1979』. 서울: 외무부, 1980.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부-주요문헌 및 조약, 1980』. 서울: 외무부, 1981.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부-주요문헌 및 조약, 1981』. 서울: 외무부, 1982.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1982』. 서울: 외무부, 1983.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1983』. 서울: 외무부, 1984.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1984』. 서울: 외무부, 1985.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1985』. 서울: 외무부, 1986.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1986』. 서울: 외무부, 1987.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1987』. 서울: 외무부, 1988.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1988』. 서울: 외무부, 1989.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1989』. 서울: 외무부, 1990.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1990』. 서울: 외무부, 1991.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1991』. 서울: 외무부, 1992.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1992』. 서울: 외무부, 1993.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1993』. 서울: 외무부, 1994.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1994』. 서울: 외무부, 1995.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1995』. 서울: 외무부, 1996.
외무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1996』. 서울: 외무부, 1997.
외교통상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1997』. 서울: 외무부, 1998.
외교통상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1998』. 서울: 외무부, 1999.
외교통상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1999』. 서울: 외무부, 2000.
외교통상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2000』. 서울: 외무부, 2001.
외교통상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2001』. 서울: 외무부, 2002.
외교통상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2002』. 서울: 외무부, 2003.
외교통상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2003』. 서울: 외무부, 2004.
외교통상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2004』. 서울: 외무부, 2005.
외교통상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2005』. 서울: 외무부, 2006.
외교통상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2006』. 서울: 외무부, 2007.
외교통상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2007』. 서울: 외무부, 2008.
외교통상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2008』. 서울: 외무부, 2009.
외교통상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2009』. 서울: 외무부, 2010.
외교통상부 (편). 『대한민국외교연표, 2010』. 서울: 외무부, 2011.
한국국제교류재단.『미국내 한국관련기록 및 서류목록 (영문편)』. 서울: 한국국제교류재단, 1991.

Clotworthy, William G. Homes and Libraries of Presidents: An Interpretive Guide. Third edition, revised, Granville, Ohio: McDonald & Woodward Publishing, 2010.
Degregorio, William A. The Complete Book of U. S. Presidents. New York: Barricade Books, 1993. 
Findling, John E. Dictionary of American Diplomatic History. 2nd ed. New York: Greenwood, 1989.
Kochmann, Rachel M. Presidents: Birthplaces, Homes, and Burial Sites Including Presidential Libraries, A Pictorial Guide. Seventeenth Ed., Bemidji, Minnesota: Arrow Printing, 2003.
Shavit, David. The United States in Asia: A Historical Dictionary. New York: Greenwood Press, 1990.

초록 요약

초록 요약: 전체 연구결과 요약(초록), 세부과제별 요약( )으로 구성
전체 연구결과 요약(초록)

미국은 한국정치 지도자에 대해 정권교체 과정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계획을 입안했으며 대부분은 도상작전에 그쳤다. 이승만과 전두환 등 제거공작이 구체화되었으나 집행되지 않았고 실패한 경우는 그 회고담 등이 공개되어 있다.

이 책에서 대상으로 삼고 있는 1979년과 1980년 이른바 78초는 한국현대사의 가장 결정적인 국면 중의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미국은 1980년 서울의 봄과 광주의 5월 당시 한국 신군부의 시위진압에 대한 공모자, 선동자, 적극적 지원자, 간접적 조장자, 묵시적 방조자, 무언의 묵인자, 수수방관자, 관망자, 혹은 정치개입과 강경진압을 하지 말라는 경고자, 쿠데타 기도에 대한 적극적 진압자 중의 어느 위치에서 대응했을까? 필자는 이러한 다양한 위상 규정을 앞에 놓고 국면 국면마다 변화무쌍한 상황변화에 따라 미국의 대응양식도 변화되었다는 유동적-가변적인 시각을 가지고 문제를 봐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197912·12가 일어난 후 19801-2월에는 한국군의 역쿠데타 모의에 대해 지원할 것을 검토하는 등 신군부의 정치 간여를 적극적으로 진압하려다가 무리라고 생각해 3월 이후 군부의 개입에 대해 경고했다가 5월 이후 광주에서 소요가 일자 방관하다가 결국 묵인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신군부가 김대중을 사형에 처할 것이라고 예견되자 카터는 전두환 제거를 최후의 대안으로 고려하다가 김대중이 감형되자 제거 공작은 철회되었고 결국 레이건 행정부에 의해 신군부의 집권이 승인되었다.

위컴 사령관은 516때 박정희 소장을 상대했던 매그루더(Carter Bowie Magruder) 주한미군사령관의 운명(장면 지지의 무력행사를 하지 않아 결국 쿠데타를 인정할 수밖에 없었음)을 답습할 수 없다고 생각해 전두환에 비교적 강경하게 대응하고자 했으며 전두환 제거계획(역쿠데타)까지도 검토했던 것이다. 그렇지만 51612·12에서 미국의 대응은 결과 면에서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며 미국은 결국 현실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글라이스틴 대사가 위컴보다 상대적으로 역쿠데타계획에 소극적이었던 데에도 위컴의 역쿠데타 후원 구상이 실현되지 못했던 부분적인 이유가 있다. 516사후조치에서 미국은 헌법제정과 민정이양에 적극적으로 개입했으나, 12·12사후조치에서는 전두환 제거작전을 내부적으로는 비교적 적극 검토했지만 5·18과 이후 제5공화국 수립 과정에서 겉으로 드러나는 가시적 조치는 별로 다른 점이 없었다.

그런데 전두환제거구상이라는 사실 발굴을 통해 미국이 전두환의 권력장악을 그렇게 호의적으로 보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의 통설은 안정을 선호하는 미국이 12·121980년 서울의 봄 이후 광주문제 등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일관되게 전두환 정부를 지지했으며 전두환 제거공작과 같은 무리수는 검토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한편 미국 정부는 전두환 정부 출현 과정에서 한국의 내정에 간섭하지 않았고[워싱턴의 고위정책 차원에서는 내정에 간섭하지 않은 것이 맞지만 주한미군의 차원에서는 맞지 않는다는 주장이 있다. 전두환이 12·12와 광주진압 당시 한미연합사의 명령체제를 위반했을 때 이와 같은 항명행위를 미군이 진압하지 않았다. 전두환은 베트남전 복무와 군 정보계통의 지휘 덕분에 미국 상대역들과 두터운 인맥을 갖고 있었다. 전두환의 지인이었던 미군 장성들이 신군부의 항명행위를 묵인 내지는 방조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광주진압작전에 동원된 부대의 경우 이미 19791027일 한국군 작전통제권이 한국측에 이양되었으므로 부대이동을 승인하거나 통보 받을 권리가 미군에게 있지 않았으므로 미국의 한국 군부에 대한 제어력은 한계가 있었다. 물론 마음만 먹었으면 진압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았겠지만 그러한 무리수를 동원해 내정에 개입하여 반미감정을 조성시킨다면 공산화가 될지도 모른다고 우려했을 것이다. 미국에게 민주주의 옹호는 안정(공산화방지)이라는 목표가 달성된 후에 추구할 가치였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위컴 사령관과 같은 인사는 전두환의 지인은 아니었으며, 전두환에 비판적이었다. 카터 대통령 등 워싱턴과 주한미군은 공히 전두환 제거공작을 검토했으므로 역시 워싱턴이 방관만 했다는 커밍스의 주장도 피상적이고 결과론적 관찰이다] 그럴 힘도 없었다고 변명했다. 전두환제거계획에 대한 사실 확인으로 이러한 정설은 수정될 수 있다. 앞 시대보다 보안에 신경을 썼던 1980년 당시 비밀공작의 자료는 25년이 지나서야 발굴될 수 있었다. 30년이 지나서야 사실 규명이 이루어졌던 이유가 여기에 있다.

12·12를 자행했고 광주민주화운동을 진압했던 전두환의 정치참여에 대해 미국은 결코 긍정적으로 보지 않았으므로 그를 제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그렇지만 북한의 악용과 소련의 영향력 확대 등을 우려해 도상작전으로 끝났다. 결국 그의 집권을 막으려는 무리한 시도는 밖으로 표출되지 않았다. 다만 미국은 신군부의 약점을 지렛대로 삼아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하려 했다. 전두환은 미국의 이런 자제된 영향력을 적절히 제어하고 이용해 집권에 성공했다. 전두환은 미국과 많은 갈등을 겪었지만 결국은 최후의 승리자가 되었던 것이다.

미국은 결과적으로 전두환 정부를 묵인했지만 아무런 시도도 하지 않고 시종일관 묵인만 했던 것은 아니라는 점을 1차 자료로 확인했으므로 새로운 사실 규명에 근접했다고 믿고 싶다. 즉 민주주의의 발전(정치발전; 민주화)이라는 맥락에서 전두환 정부의 출현이 바람직스럽지 않다는 점을 미국도 충분히 인지했으며 다만 내정간섭이라고 비난받을 수 있는 점을 의식해 한국군 인사를 동원해 배후에서 움직였으나 여의치 않았던 것이다. 19801월말부터 2월에 미국은 전두환 제거를 위한 역쿠데타를 모의하는 장군들과 직접 접촉해 후원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그 위험성이 크며 무엇보다도 대안이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아 후원을 포기했다. 19806월 말에도 한국군 내부에 제2차 역쿠데타 모의가 미국에 의해 포착되었으나 이번에는 후원 자체를 논의하지 않고 방관만 했다. 19807월과 9, 그리고 11월에는 카터 대통령이 집착했던 김대중 구명을 위한 방법의 차원에서 전두환 제거공작(주한미군철수, -북 관계 개선 등의 북한변수 동원)이 다시 강력하게 논의되었으나 전두환이 김대중 사형집행을 철회해 버려 이 역시 도상작전에 그쳤다. 이렇게 도상작전에 그친 것은 미국 정부가 가지고 있는 힘의 한계 때문이라고 여겨지기도 한다. 1980년 당시 미국은 한국 국내정치를 좌우하기에는 버거웠다는 평가도 가능하다. 따라서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때와 같이 미국의 힘에 한계가 거의 없었던 상황과는 달리 한국 국내정치도 상대적으로 자율성을 획득했다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1987년 미국은 적극적으로 개입해 전두환의 집권연장을 제어했으며 1980년 전두환제거공작이 우회적으로 결실을 맺었다. 1980년 광주에서의 시위가 큰 희생을 낳았지만 국지적인 차원에서 진압된 반면에 19876월항쟁은 광주와 같은 큰 희생은 없었지만 전국적인 범위에서 훨씬 대규모로 시위가 벌어졌으므로 미국은 시위의 전국적인 확산[수도 서울에서의 시위 발생]이 공산화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고 판단해 적극 개입했다. 12·12사건과 5·18민주화운동 당시 신군부의 쿠데타(유혈진압)에 대해 미국이 침묵한 사실이 대한민국 내에 알려지면서 반미감정이 거세게 일어났다. 이런 상황에 부담을 느끼고 있던 미국은 19876월항쟁이 거세게 일어났을 때에는 전두환 정권이 무력 진압을 못하도록 압박했던 것이다. 1987년 당시 신군부의 힘은 1980년보다 더욱 신장되어 보다 안정화되었지만 국민들의 힘은 신군부의 힘을 압도했던 상황이었다. 광주학살을 저지른 신군부에 대한 비판은 6월항쟁으로 폭발되었다고 할 수 있다[따라서 518518진상규명투쟁은 1980년대 한국 민주화 운동의 밑거름으로 작용했고 그 지향과 가치는 한국을 뛰어넘어 인류의 보편적 가치로 기억되고 있다]. 냉전 시대 미국이 한국에 대해 가졌던 힘의 한계선은 상황에 따라 그리고 한국 국민들과 최고지도자들의 역학관계에 따라 가변적으로 정해졌다고 할 수 있다.

1953년 한미동맹 조약 체결 당시 한국은 미국과 종속적이고 일방적인 비대칭적인(asymmetrical) 동맹 관계를 설정했다. 그런데 한국의 국력신장에 따라 자연스럽게 대미 자율성은 증대되어 연루(連累; entrapment)의 위협을 줄이며 과도한 내정간섭을 방지하려 했다. 한편 미국이 1960년대 말 중국과의 관계 개선 등을 추구하면서 주한미군 철수 문제를 일방적으로 제기하자 한국의 박정희 정부는 방기(放棄; abandonment)의 위협을 느끼게 되었다. 이에 박정희 대통령은 자주국방을 추구해 역시 자율성을 신장시키려 했다. 결국 한미동맹에 내포된 약소국-강대국 간의 전형적인 비대칭성은 대칭적인 방향으로 서서히 변화했다. 전두환이 신군부의 중심인물로 등장하는 1980년 미국은 전두환 제거작전을 일방적으로 검토하는 등 한미동맹의 비대칭성이 급격하게 변화하지는 않았다. 대통령이 된 전두환은 김대중 사형 집행 문제를 둘러싼 한미간의 줄다리기를 통해 카터 대통령을 애타게 만들었다. 이어 19812월 레이건 대통령의 승인을 이끌어내는 등 김대중 문제를 가지고 지렛대를 구사하는 외교적 노련함을 보여 미국을 견인하기도 했다. 그러나 전두환 정권이 미국의 승인을 얻어야 할 만큼 비대칭성은 여전했다. 또한 1986-1987년 정권교체기에 전두환이 친위쿠데타 등을 통해 집권연장을 도모하려하자 미국이 공개적인 반대의사표명과 비밀리의 대면 공작을 통해 전두환을 견제하여 한미관계의 비대칭성은 재확인되고 심화되었다. 김대중 정부 시절인 1997년 일어한 IMF 사태도 역시 한미관계의 비대칭성이 일정부분 투영된 사례였다. 만약 냉전시대와 같이 빅 브러더(미국)가 약소국(한국)을 배려했다면 외환부족 사태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도록 지원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1989-1991년대 탈냉전기가 시작된 이후 냉전시대 한미동맹과 같은 강력한 결속력은 이완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21세기 중국이 부상하면서 한미동맹은 북한과 소련을 견제하는 차원에서 벗어나 G2 시대 미국의 중국 견제 국가이익에 복무하는 수단이 될 여지가 커지게 되었다. 이에 더하여 비교적 진보적이고 미국에 상대적으로 자주적인 방향으로 의제를 설정하려 한 노무현-문재인 정부는 미국 편향적인 대외정책노선을 시정하고 균형외교를 추진했다. 이들 정부는 한미동맹이 이명박-박근혜 보수정부보다 상대적으로 약화되었다는 보수진영의 비판에 직면해야 했다. 21세기 한국의 국력이 증가하면서 한국은 자율성-안보 교환의 전형적인 한미동맹 모델에서 벗어나 자율성-안보의 동시 증진을 도모하고 있다는 평가가 가능하다. 한국은 중견국(middle power)으로 성장하여 비대칭적인 대미동맹에 의존한 일방적인 편승 노선에 벗어나 중립-균형, [한미동맹의 큰 틀을 유지하면서도] 중국과 그냥 묻어가는 편승노선을 검토하고 있다. 그만큼 한국의 자율성이 증대했다는 증거이다. 그러나 남북관계 개선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도모하는 2010년대 말의 상황에서도 한미동맹의 유용성은 여전하다. 북한은 남한과의 대화보다 미국과의 직접 대면을 원하고 있으므로 남한은 동맹국 미국을 북한과의 대화에 나서도록 힘써 중재해야 했다. 분단체제에 미친 외세(미국{과 중국})의 규정력이 민족내부의 힘을 아직도 압도하는 현실이 확인되는 대목이다. 따라서 남북간의 교류협력과 분단극복, 더 나아가서 통일이라는 지상목표의 달성을 위해서 일차적으로는 북-미관계 개선의 중재력을 발휘하여 전쟁을 방지해야 한다. 이에 더하여 미-중 강대국 사이에 끼어있는 한반도라는 지정학적 상황에서 우리의 생존과 국가이익을 도모할 수 있는 고난도의 외교력을 발휘해야 할 것이다.

세부과제별 요약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