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
과제코드 1981-사회-5-라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사회와 문화에 대한 자생적 이론 탐구 - 라. 유교문화 전통의 보수와 이론 (개화기 한국사회 변동에 대한 주체적 인식)
  • 영문 : -
연구책임자 정재식(연세대 교수)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1-03-18 ~ 1982-05-19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오늘날 사회과학이 당면한 중요한 과제의 하나는 서구의 영향을 받아 소위 비서양사회가 어떻게 변동의 과정을 밟아왔느냐 하는 문제다. 특히 문화적인 차원(종교, 가치, 규범 등)에서 제기되는 의미의 문제는 중요한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측면, 즉 정치적 경제적인 변동에 비해 아직도 잘 탐색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이러한 요구에 응하여 개화기 한국사회변동의 "문화적 의미"를 모색한 척사위정(斥邪衛正)과 유교구신의 이론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이 연구는 문헌연구이며 사회과학의 해석학적인 방법과 지정사적인 접근 방법의 종합을 시도하려 함.

 

연구 내용

 

 척사위정 사상에 나타난 사회와 문화보존의 이론은 박은식의 "유교구신론"으로 대표되는 유교전통의 혁신의 이론과 어떻게 대조되는가? 이 두 케이스를 통해서 유교지성인들이 자기 사회와 문화에 대하여 그리고 개화기의 한국사회의 변동에 대하여 파악한 사회와 문화보존의 이론과 변혁의 이론은 무엇인가?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