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 | ||
---|---|---|---|
과제코드 | 1982-국민윤리-6-다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황성모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2-11-16 ~ 1984-12-03 | 연구형태 |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국민윤리를 한국인의 공동생활을 위한 협동학문적 사회윤리라고 생각할 때 그 주체자로서의 한국민족에 대한 반추가 필연적으로 요청된다고 하겠다. 이에 국민윤리 정립을 위한 민족주의의 의의를 탐구하여 특히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민윤리 전공도서로 출간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연구 배경
서구가 몇 세기에 걸쳐서 이룩했던 사회 변화의 과정을 불과 몇 십년 내에 밟았으며, 근대시민사회의 과정을 경험하지 못한 채 시민사회로의 전이를 맞이한 우리 사회는 윤리와 가치관의 혼란에 직면하고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시점에서 시민윤리 및 사회윤리의 정립은 현대 산업사회의 긴급지사라 하겠으며, 이에 국민윤리의 정립과 민족주의에 대한 탐구가 요청되는 시대적 배경을 갖고 있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해방전후를 통해서 민족주의에 대한 제반 자료를 조사 수집 정리하여 민족주의의 올바른 방향전개를 모색하여 이를 토대로 바람직한 국민윤리의 정립을 위한 민족주의의 의의를 탐구한다.
연구 내용
하나의 이념으로서의 민족주의는 그 민족을 활기찬 협동의 방향으로 이끄는 창조력을 갖는 반면, 동시에 폐쇄적이고 자기 기만적인 역기능도 가질 수 있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민족주의에의 올바른 이해를 도모하여 이에 토대한 국민윤리의 정립을 지식사회학적 접근 방법으로 분석, 모색한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