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
과제코드 1983-예술-5
연구과제명
  • 국문 : 동양조형사에서의 상·형의 문제(동양화에서의 상과 형에 대한 시론)
  • 영문 : -
연구책임자 유준영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3-06-01 ~ 1983-12-31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동양에서의 자연·사물에 대한 개념들은 역사상(易思想)으부터 나오고 거기서 표현되는 자연에 대한 인식방법은 줄곧 우리의 조형관에 크게 영향을 끼쳐왔다. 우리의 조형행위 및 그 사상이 다른 문화권과 구별되는 것은 이러한 원인이 작용하고 있다. 특히 조형 문제에 관여하는 몇 가지 학문분야에서도 이 문제를 소홀히 하기 때문에 우리의 기본적인 사물인식방법과 조형사상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연구 방법

 

 역(易)을 중심으로 고찰하되 이와 관계되는 고전문헌들을 살피며, 도·불에서의 자연인식 방법과 개념들을 비교해 본다.

 서양의 조형사상을 초기 르네상스·현대로 구분, 우리의 것과 본질적인 공통점·상이점을 분석한다.

 상·형 등에 대한 조선조 성리학자들의 생각을 살핀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문헌을 분석 카드화하고, 개념들에 대한 생각의 공통점과 상이점을 체크한다. 시대마다 공통되는 사상 또는 인식체계가 있는가 또 이는 계속성을 지니는가, 새로운 사상과 정해서 변동하는가 검토.

 이미 저술된 연구는 과연 이러한 기본 문제를 파악하며, 우리의 고유 인식 방법을 이론적으로 전개시키고 있는지 분석한다.

 

연구 내용

 

-우리의 사물인식체계와 패턴으로서의 상·형에 대한 조형개념적 고찰-

 상과 형을 어떻게 따로 생각하는가?

 서양에서의 "Edios"와 "상(象)"이란 개념의 차이는 무엇인가?

 동양에서의 인본의 해부학적 파악의 부족은 과연 한자문화의 추상성에 기인하며, 붓과 먹이라는 특수한 도구의 영향인가?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