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
과제코드 1984-역사-6-사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근세의 사회구조와 의식 (사회사대계 : 역사편) - 사. 폐쇄사회에서 개방사회로 갑오경장으로 인한 사회변화 (갑오경장으로 인한 사회변화)
  • 영문 : -
연구책임자 유영익(고려대 교수)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4-03-01 ~ 1984-12-31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갑오 동학농민봉기와 청일전쟁을 배경으로 추진되었던 갑오경장은 조선왕조의 기간(基幹)제도를 중국지향적인 것으로 부터 서구 내지 일본지향적인 것으로 바꾸어 놓은데 큰 역사적 의의가 있다. 이 제도 정책이 한국근대사-특히 사회사-에 끼친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 될 것이다.

 

연구 배경

 

 이 연구에 직접·간접으로 관련된 논문은 발표한 바 있으며 이 연구에 필요한 기본자료를 확보하고 있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① 한·일·미 3국의 사료를 종합적으로 검토 분석함.

② 일본 및 청국의 동시대의 개혁 운동과 비교함.

③ 사회사학에서 개발된 접근 방법과 분석 도구를 사용함.

 

연구 내용

 

내용: 1894-1896에 추진된 제도정책이 정치적 리더십(leadership)의 구성, 교육의 변화, 사회 신분제의 붕괴 및 한국인의 의식 변화 등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를 검토할 것임.

가설: 갑오·을미경장은 정치·사회제도 면에서 보다 교육·문화·사상면에서 더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