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
과제코드 1984-어문-1-나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 현대문학에 있어서 민족주의 문제 - 나. 현대 한국시에 있어서의 민족주의 문제
  • 영문 : -
연구책임자 박경수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4-02-01 ~ 1984-12-31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1. 지금까지의 민족문학에 관한 논의를 종합, 정리

2. 개화기 이후 1960년대까지의 시를 중심으로, 거기에 반영된 민족의식과 그 형상화의 문제, 이념과 실제의 거리, 변모양상 등의 문제를 체계적으로 정리 분석

3. 바람직한 민족문학의 건설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의 제시

 

연구 배경

 

1. 전통과 주체적인 민족정신의 확립 문제가 최근 두드러지게 논의되는 경향

2. 문학에 있어서도 전통문학은 무엇이며, 바람직한 민족문학의 건설방향이 무엇인지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가 필요함.

3. 연구자료는 민족문학론에 관련된 자료, 민족 문제를 다룬 주요한 제작품, 이외 민족문제에 관한 일반 사료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1. 민족주의, 민족의식에 관한 사료와 민족문학 문제를 다룬 평론 및 논문, 그리고 이를 문제를 다룬 작품들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조사, 정리한다.

2. 자료에 나타나는 제반 문제들을 분석, 평가하면서 그들 상호간의 관계를 밝혀, 전개양상을 일별한다.

3. 주체적 민족문학의 성립이라는 차원에서 현대 한국문학에 있어서의 민족주의 문제를 사적으로 체계화한다.

 

연구 내용

 

1. 민족, 민족주의, 민족문학, 민족주의문학의 개념 정리

2. 각 시대별 민족상황과 민족문학론의 분석

3. 시에 반영된 민족정신, 율격 및 형성 의식의 탐구

4. 민족문학의 전개과정

5. 개화기 이후 1960년대의 시는 나름대로 민족문제의 해결 방향을 진지하게 모색하고 있으며, 미래의 민족문학이 어떻게 나아가야 할 것인지에 대하여 활발한 논쟁을 통해 제시해 왔으며, 긍정과 부정의 여러 결론들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