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 | ||
---|---|---|---|
과제코드 | 1984-철학종교-2-다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유병덕(원광대 교수)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4-03-08 ~ 1984-12-31 | 연구형태 |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한국정신사상 종교·신앙이 차지하는 의미는 대단히 크다. 그것은 민족정신의 계승 전개에 있어서 밑바탕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의 현대사를 조명하는데 있어서도 종교적 인식은 주목하여 마땅하다. 본 연구에 있어서는 이러한 한민족의 사상적 기반을 이루어 온 종교의 흐름을 중시하면서 종교적 인식을 토대로 격동해온 현대사를 조명해 보기로 한다.
연구 배경
오늘날 한국의 현대사에 관한 연구는 국학연구에 대한 관심의 고조와 함께, 매우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동학을 비롯한 종교에 대한 연구도 부분적으로 적지 않게 연구되고는 있으나, 철학·사상적 연구 즉 민족정신사의 맥락을 체계지우는 연구는 흔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① 한국사 자료, ② 경전을 중심한 각종 종교자료, ③ 기존의 연구서를 참고로 하여, 기존 연구 성과의 토대 위에서 새롭게 전개한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1. 기존 연구의 성과 및 경향을 분석한다. 2. 분야별 자료를 통하여 종교적 역사의식을 모색한다. 3. 문헌자료를 통하여 종교적 역사의식을 모색한다. 4. 총결로서 제분야의 사상을 유기적으로 고찰조명한다.
연구 내용
1. 일제시의 일인(日人) 종교연구자들은 한결같이 한국의 민족종교를 유사종교로 규정짓고 있으나, 당시의 종교교조들의 언설, 사상 속에서는 철학이 담겨 있다. 2. 그 철학은 민족정신사의 맥락에서 파악되어지며, 민족사상의 표상이라 본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