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 | ||
---|---|---|---|
과제코드 | 1978-철학종교-3-1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차인석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78-10-01 ~ 1979-12-30 | 연구형태 |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어느 시대이고 전통과 새로운 것과의 갈등 문제는 존재하였지만, 현대와 같은 급격한 사회변동 하에서 전통과 현대의 갈등은 더욱 심각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우리 사회는 급속한 근대화의 추진과정에서 야기되는 전반적인 전통의 붕괴와 무분별하게 수용된 현대 서구 사조에서 오는 갈등을 실감나게 체험하고 있다. 전반적인 전통의 붕괴현상은 사람들로 하여금 행위의 기준을 상실케 하였으며, 나아가 도덕의 무정부 상태를 만듦으로써 정신적 지주를 상실케 했다. 뿐만 아니라 현대의 과학 기술을 바탕으로 한 서구의 현대 사조는 쾌락주의와 지나친 이기주의를 조장함으로써 오히려 우리 사회의 건전한 발전을 저해하는 부정적 측면을 보이기도 한다. 그러므로 전통과 현대의 갈등과 그 극복 문제를 다루려는 본 연구는 전통 사상의 긍정적 측면을 발굴하고 현대 사조의 비판적 수용 문제를 다룸으로써 전통문화의 해석 및 새로운 가치관 정립의 기초를 마련해 줄 것이다.
연구 배경
급속한 산업화의 가정에서 오는 급격한 사회구조의 변동으로 인하여, 전통적 한국사회 속에서 살고 잇는 오늘의 한국인은 행위 규범과 기준을 새로이 모색하고 정립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강하게 절감하고 있다. 그러나 행위 동기로서 전통이 갖는 깊은 영향력의 배경 하에서 현대의 새 규범은 창조되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는 전통과 현대의 갈등을 극복하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1) 문헌 연구 (2) 현상학적 해석학의 방법
연구 내용
본 연구에서 다룰 중요한 내용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다. (1) 전통의 본질 문제를 다각도로 다루고 전통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명르 구명한다. (2) 현대사회의 근본 구조를 분석하고, 특히 과학기술이 현대 사회에 끼친 영향을 고찰한다. (3) 전통과 현대의 갈등요인을 분석하고 현대의 입장에서 전통의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다. (4) 전통과 현대의 조화에 관한 여러 방안을 반전적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