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 | ||
---|---|---|---|
과제코드 | 1979-사회-3-다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장철수(안동대)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79-03-23 ~ 1979-12-31 | 연구형태 |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현재 한국사회는 전통적으로 농업을 중심으로 한 생활양식에서 상공업을 중심으로 하는 중소도시적인 생활양식으로 급격히 변해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업적인 생활양식에 근거했던 전통적인 관혼상제와 민속신앙의 작용원리는 변천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원리가 새로운 생활양식에 직면해서 어떻게 작용하는가 하는 문제는 앞으로의 변화에 대처하는 우리들의 좌표에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다.
연구 배경
전통적인 관혼상제는 조선시대의 유교적인 이론의 배경과 혈연집단에 근거하에 확립되었으나, 조선시대 후기에 이르러 촌락 집단을 근거로 한 일반 계층에 보편화되었다. 이러한 배경을 동족촌락에서는 아직도 혈연에, 집성촌락은 지연에 각각 근거하여 작용하고 있다. 또한 민속신앙은 오랫동안 우리 생활양식의 이론적인 체계를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끊임없이 믿어지고 있는데서 그 체계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1. 문헌자료의 분석 2. 물질문화와 행위문화의 관계 속에ㅔ서의 생활 양식의 연구
연구 내용
1. 전통적인 관혼상제의 원리는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2. 현대의 생활 속에서 관혼상제는 어떠한 원리를 작용하고 있는가? 3. 현대의 생활 속에서 민속신앙은 어느 면에서 기능하고 있는가? 4. 민속신앙은 어떠한 사회문화적인 배경 속에서 그 전승력을 가지는가?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