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 | ||
---|---|---|---|
과제코드 | 1979-사회-2-라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유재천(서강대)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79-03-01 ~ 1979-12-31 | 연구형태 |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현대사회의 구성원들은 막대한 양의 대중문화를 소비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주로 매스 미디어를 통해 양산되고 있는 대중문화는 이미 우리들의 환경의 일부가 되었다. 그러므로 대중문화가 우리들에게 주는 영향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대단히 크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특히 다른 나라(주로 미국과 일본)의 대중문화를 그 형식에 있어서나 내용에 있어 모방하고 있는 경향이 강하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대중문화는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그만큼 우리나라의 문화체계에 미치는 영향도 클 것이다. 한편 대중문화는 그 시대나 그 사회의 가치를 반영하기도 한다. 대체로 대중문화에 반영되는 가치는 그 사회의 기존의 가치체계를 지지하는 것이라고는 하나 우리나라의 대중문화가 외국의 대중문화를 모방하는 성격이 강한만큼 그 속에는 우리 사회의 기존의 가치관과 외국의 가치관이 혼재해 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대중문화의 주된 매체의 하나인 인쇄매체에 나타나 있는 가치관을 분석해 봄으로써 이 시대 우리나라 사회의 규범체계를 이루고 있는 가치가 어떤 것인지를 연역해 보고 이를 사회구성원들의 사회화라는 관점에서 생각해보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1. 분석의 대상 본 연구에서는 1970년대의 신문연재 소설과 우리나라 소설로서 베스트 셀러에 올랐던 소설을 분석의 대상으로 한다. 분석대상 소설의 선정은 연도별 베스트 셀러 목록과 신문연재 소설 목록을 기초로 1년에 5권을 선정하여 모두 50편의 장편 소설을 분석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종류의 소설은 분석 대상에서 제외한다. ① 역사 소설 ② 전기 소설 ③ 번역 소설 ④ 단편 소설
2. 내용 분석 본 연구는 계량적인 내용 분석과 질적인 내용분석의 두 가지 방법으로 진행될 것이다. 그러나 지나친 계량화에 의존하지는 않을 것이다.
연구 내용
1. 소설의 주제 분석 2. 소설의 사회 인구학적 settings 분석 ① 등장인물들의 사회인구학적 배경 (특성) ② 등장인물들의 social relationship ③ 등장인물들의 집단 관계 3. 소설에 나타난 규범 분석 ① 남여 간의 행위의 규범 ② 가족 구성원 간의 행위의 규범 ③ 연장자와 젊은이 사이의 규범 ④ 친구 사이의 규범 ⑤ 조직체 내에서의 규범 4. 소설에 나타난 가치관 분석 ① Human Nature Orientations ② Mom - Nature Orientations ③ Time Orientations ④ Activity Orientations ⑤ Relational Orientations ⑥ Goal Values and Means Values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