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 | ||
---|---|---|---|
과제코드 | 1979-역사-3-라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한영국(서울대)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79-02-01 ~ 1980-12-31 | 연구형태 |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현재 우리에게는 조선시대의 호적대장 260여 책과 무수한 호구단자 및 준호구 호적이 전존하고 있다. 한국사회사 연구에는 물론, 정치·교육·문화사 등의 연구에도 기본적인 자료가 되는 일차 사료인 것이다. 그러나 이들 사료는 아직까지도 연구에 이용될 수 있게끔 서지적인 정리가 되어 있지 못할 뿐 아니라, 사료적인 이해에 있어서도 충분히 검토·인식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선 이러한 기초적인 작업과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조선 후기의 향촌의 사회구조와 그 변화를 고찰하여 17~19세기 한국사회의 새로운 이해를 하고자 하는 것이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