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 | ||
---|---|---|---|
과제코드 | 1979-역사-3-가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최승희(계명대 부교수)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79-02-01 ~ 1980-12-31 | 연구형태 |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고문서는 역사연구의 일차적인 자료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아직 고문서학이 하나의 학문으로 성립되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고문서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역사학자들까지도 이를 도외시하였다. 간혹 중요성을 인식한 학자라도 우리나라 고문서의 전체적인 내용과 성격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고 해독이 어려워 부분적인 이용에 그치고 있다. 이제 우리도 역사연구에 고문서를 활용할 단계에 도달하였고 또 그래야 되겠다. 그러나 우리는 아직 고문서에 대하여 친절히 소개해주고 안내해줄 만한 적당한 입문서를 갖고 있지 못하다. 이 연구는 한국고문서의 내용과 성격을 분석하고 종류별로 사진과 해설(구성, 내용, 독해, 활용) 범위 등을 붙여 고문서의 해설서·입문서를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배경
현재 각 도서관, 대학 도서관, 개인 소장의 고문서를 연구 대상 및 자료로 한다. 고문서의 소장 상태도 조사 대상으로 한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이 연구에서는 순수한 고문서학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고문서의 자료로서의 활용에 더 큰 관심을 둔다. 즉 우리나라 고문서는 어떠한 종류가 있고 그것은 어떻게 분류할 수 있으며, 사료로서는 어떠한 가치가 있는가, 또 어떻게 해독되며,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 하는데 중점을 둔다.
연구 내용
(1) 고문서의 정의 (2) 고문서의 가치 (3) 고문서의 보존상태 (4) 고문서의 분류 (5) 고문서의 형태 (6) 고문서 종류별 해제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