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1979-역사-1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김철준, 윤병석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79-02-01 ~ 1979-12-31 | 연구형태 | 공동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한국문화사 연구의 심화의 그 체계화를 추진할 연구사업의 일환으로 한국 근대문화에 관한 공동연구를 추진하여 (1) 한국 근대의 성장과정과 그 본질 규명 (2) 한국 근대민족 운동의 발전 과정 (3) 근대 역사 의식의 성장을 밝혀 근대문화의 성격을 종합적이고 새롭게 해석함을 목적으로 함.
연구 배경
한국 근대문화는 현재까지 제한된 학자들에 의하여 분야별로 부분적인 연구 업적을 내고 있을 뿐 아니라 그 체계적 이해를 할 만한 이론이나 방법론도 성립되지 못했다. 그러므로 될수록 많은 학자가 참여하여 근대 민족의식, 개화-근대화, 근대의식 등을 집중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한국 근대사의 근대 문화의 자료는 그동안 정리 간행된 것도 적지 않지만 아직도 국내의 미발굴, 미정리된 채 방임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공동연구를 통하여 이와 같은 자료를 발굴, 이용케 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1. 한국 근대문화의 공동연구를 위한 규정을 제정하여 본 연구를 추진함. 2. 규정에 의하여 위촉된 추진연구위원을 중심으로 많은 학자가 참여하여 근대민족 운동과 민족의식 등을 종합적으로 협동 연구케 함. 3. 신진 연구인력을 될수록 발굴 육성하는 방법을 병행함.
연구 내용
Ⅰ. (1) 19세기 한국사회의 일반적 상황 (2) 위정척사론과 위정척사운동 (3) 동학사상과 동학혁명 (4) 개화사상과 개화운동 (5) 독립협회 활동 (6) 청일, 노일 전쟁당시의 일본세력의 침략상황 (7) 의병항쟁의 전개와 그 성격 (8) 애국 계몽 운동의 방향 (9) 국내외의 독립운동 (10) 조선 총독부의 지배기구의 구조 Ⅱ. (11) 3.1 운동의 민족사적 의의 (12) 독립군 항전 (13) 상해 임시정부의 활동 (14) 민주 노령지역에서의 한국인의 생활 상태 (15) 3.1 운동 이후의 국내외의 정세 (16) 농촌 계몽운동 (17) 협동조합 운동 (18) 여성 운동 (19) 어린이 운동 (20) 불교 (21) 천도교 (22) 기독교 (23) 연극 활동 (24) 대중 음악 활동 (민속음악과 유행가) (25) 체육 활동 (26) 물산장려 운동과 민족자본의 성장 (27) 사립학교 교육활동 상황 (28) 노동운동의 일반적 상황 (29) 언론 활동 (30) 소작 쟁의 Ⅲ. (31) 근대 민족의식의 성장 (32) 한국 민족주의의 방향 (33) 근대사학과 민족사학 (34) 식민지 교육의 본질과 그 영향 (35) 식민지 시대의 문화활동과 그 전개 (36) 문학활동 (37) 고전문학의 연구 (38) 언어학의 연구 (39) 미술의 활동 (40) 사학의 일반적 상황 (41) 자연과학과 기술자 (42) 법학 교육과 관리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