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 ||
---|---|---|---|
과제코드 | 1980-교육-4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이영기(서울대 교수)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0-02-01 ~ 1980-12-31 | 연구형태 | 단독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해방이후 한국사회는 질적인 면에서나 양적인 면에서나 급격한 변동을 거듭하여 왔다. 특히 경제적인 면에서는 농업을 중심으로 하던 한국경제는 1960년대에 시작한 장기경제개발계획의 실천에 따라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1950년대 100달러 미만의 일인당 국민소득은 1970년대의 말기에 1000달러를 훨씬 초과하였으며 소득면에서나 인구의 고용구조면에서나 1차 산업이 차지하는 비율이 감소하고 2차 산업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경제의 변화는 여기에 그치는 것은 아니다. 1960년대에 몇천만 달러에 불과하다. 한국의 수출은 1977년에 100만 달러를 초과하였으며, 수출의 증가에 따라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하던 해외시장도 유럽, 중동, 아프리카, 남미의 여러 지역으로 확대되었다. 이상과 같은 경제적인 여건의 변화는 단순한 물질적인 환경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경제적인 변화는 우리의 생활양식이나 가치관, 교육에 많은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그러나 외래적인 경제의 이론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여 한국이 처하고 있는 상황을 간과해서도 안될 것이며, 또 전통적인 경제에 지나치게 집착하여 근대적인 경제발전을 게을리해서도 안 될 것이다. 말하자면 우리의 현실을 중심으로 우리의 경제를 근대화 하는 일이 중요할 것이다. 특히 1980년대에는 중화학 공업을 중심으로 하는 우리 경제의 발전방향이 진정한 한국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모든 국민의 협조가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경제의 발전을 위한 교육의 방향과 목표를 모색하고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에서 실시해야 할 경제교육의 내용을 분석, 검토하려는 데에 있다.
연구 배경
한국의 경제성장이 급속도로 진행됨에 따라서 학교에서 실시하는 경제교육도 그 동안 많은 변화를 거듭하여 왔다. 경제에 관한 각종 이론이 소개되고, 한국의 경제성장에 관한 각종 자료가 학생들에게 교수되었으나 한국 경제에 관한 교육의 방향이나 목표가 포괄적으로 논의되고 검토된 것은 퍽 드물었다. 그러나 한국경제 일반에 관한 자료는 상당히 많다. 그러므로 한국 경제 일반에 관한 이들 자료를 중심으로 하여 교육의 방향과 목표를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