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1980-역사-3-가
연구과제명
  • 국문 : 고려조 문화에 관한 연구 - 가. 대각국사 의천의 화엄사상
  • 영문 : -
연구책임자 최병헌(서울대)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0-04-17 ~ 1981-12-31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중국에 들어와서 성립된 화엄사상은 동아시아 대승불교사상사에 있어서 최고단계에 도달한 것이며, 한국불교사상사에 있어서도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이다. 한국의 화엄사상은 일찍이 성립되어 한국불교사상사의 주류를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중국에도 역수출되어 중국 화엄사상의 성립에 선국적인 역할을 하였고, 그 뒤의 진전과정에서도 유기적으로 상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러므로 한국화엄사상사에 대한 이해는 한국불교사에서 중요한 문제일 뿐만 아니라 중국화엄사상사의 이해를 위해서도 필요한 것이다. 그런데 오늘날의 한국화엄사상사에 대한 이해는 자료의 정리도 제대로 안 된, 극히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어서 화엄사상사체계의 성립은 요원한 상태에 있다.

 본 연구는  한국화엄사상사의 체계적인 이해를 위한 기초 작업의 일환으로서 우선 의천의 화엄사상에 관한 자료를 종합 검토하고, 나아가 한국화엄사상사에 있어서의 의천의 위치를 밝혀보려고 한다.

 

연구 배경

 

(1) 과거 연구의 개관

 의천의 불교사상사에 관한 자료는 비록 단편적인 것이기는 하지만, 비교적 다양하게 남아있으며 그에 관한 연구도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져 그의 천태종 창립이나 속장경 간행에 관한 문제에 관해서는 상당한 성과를 이루었다. 그러나 의천의 불교사상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화엄사상에 관한 문제는 전면 간과되고 있는 실정이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