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 ||
---|---|---|---|
과제코드 | 1980-교육-1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손인수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0-01-01 ~ 1980-12-20 | 연구형태 | 단독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우리가 종래 유교적 전통의 제약 속에서 근대 교육 운동을 전개시켜 나갈 무렵, 뜻하지 않은 것이 군국 일본의 침략이었다. 이에 따라 우리는 19세기 말의 신문화 도입 과정에 잠시동안 주권을 유보하지 않으면 아니 되었다. 여기에, 우리 민족은 굴종과 저항의 택일 속에서 일제를 상대로 하여 보다 합리적인 구국운동을 모색하게 되었고, 근대학교 역시 민족정신의 앙양과 독립 사상의 고취에 그 선봉을 담당하고 나섰다. 민족주의는 국가나 시대에 따라서, 또 어떠한 사회적 입장으로부터 주장되는가에 따라 발현 형태가 다르다. 한국의 경우는 일제 억압에 대한 반항의 결집과 관련되면서부터 고조된 것이니, 이는 과거 서구의 민족주의와 결정적으로 다른 면을 하나 가지게 되었다. 그것은 곧 저항적이라는 것이다. 여기에 근대학교도 저항 민족주의 사상과 밀접한 관련을 갖게 되어, 민족 투쟁사와 함께 국가 민족이 겪은 현실적인 시련의 극복에 의식의 혁심을 이루게 되었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내용
• 한국 근대 민족 교육의 특수성 • 근대학교의 건학정신과 민족보전의 이념 • 민간인에 의한 의무 교육 정신 • 미선학교의 교육구국운동 • 애국 교과를 통한 교육구국운동 • 교육실천을 통한 구국운동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