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
과제코드 1980-사회-1-나
연구과제명
  • 국문 : 경제개발의 정신적 요인에 관한 연구 - 나. 산업화 과정의 한국사회에 있어서의 새로운 가치체계 연구시설 (정향의 탐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경동(서울대)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0-02-01 ~ 1980-12-31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공업화가 급격하게 일어나고 있는 현대 한국사회의 변동과 연속성의 성격을 이론적인 전망에서 분석하되, 그 초점을 공업화와 한국사회문화의 전통적인 요소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에다 맞추어 다각도의 이론적 검토를 체계적으로 시도하고자 한다.

 

연구 배경

 

 우리나라에서 공업화가 본격적으로 추진된 것은 겨우 20년에 미치지 못하니 그 속도와 사회문화적인 충격의 폭과 깊이는 속도에 비례하는 만큼 크고 심각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사회학적인 설명이나 실제 연구의 작업은 지엽적이고 부진했던 것이 사실이다. 실증연구가 부진했던 것은 주로 이론적인 뒷받침이 약했던 데 기인하는 것 같고, 이론적인 설명은 대체로 공업선진국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태에서 머물러 있음으로 해서 한국사회의 이해에 그 유관적합성의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우선 이와 같은 이론적 분석의 틀을 마련하는 방법론적인 접근을 시사하기 위한 기초작업에 착수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취지와 배경에 맞추어 주로 이용될 자료는 외국의 이론이 담긴 문헌과 한국의 공업화의 사회문화적 충격 및 전통적 요소의 특성에 관한 기초자료들이 될 것이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이 연구의 성격상 그 접근법은 이론적 분석과 방법론적인 쟁점의 검토정리가 될 것이고, 이를 위해서는 주로 문헌연구법을 채택하게 될 것이다.

 

연구 내용

 

가. 이론적 틀의 탐색

주로 외국이론에 입각하여 공업화의 사회적 충격에 관한, 한국에 유관적합한 이론틀의 모색

나. 접근법의 시사

공업화의 한국사회문화의 전통적 요소사이의 상호작용과 그래서 생기는 변동의 모습을 변증법적인 논리에 입각하여 검토하는 접근을 시도해 본다.

다. 한국사회문화의 전통적 요소의 특징을 추출하고 이것이 구체적으로 공업화의 과정에 기인한 바, 그리고 공업화의 결과로 일어나는 전통적 요소의 변질과 유지존속의 모습을 체계적으로 정리한다.

라. 연구가설은 지금의 단계에서 특정한 것을 정립하는 작업이 시기상조이고 오히려 이 연구를 통해 앞으로 이 방면의 연구를 위한 가설류들이 추출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연구결과 개요

 

 공업화와 한국문화의 전통적 요소 사이의 유관적 합성 등 상호작용의 모습에 관한 개념의 틀과 이론 구성 시도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