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
과제코드 1980-사회-3-다
연구과제명
  • 국문 : 전통적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 전통적 생활세계와 집단생활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한구(제주대)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0-02-28 ~ 1983-12-15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한국인의 전통적 생활양식에 있어서 가족 및 집단생활을 가장 대표적인 생활의 특성이다. 따라서 이의 인류학적 해명을 아동생활, 여성생활과 아울러 전통적 생활 세게를 이해하는 관건을 이루고 있다.

 

연구 배경

 

 지금까지의 많은 농촌사회 조사 보고들은 가족 및 친족 연구로 이만갑, 이광규, 최재석, 이해영, 최홍기 등에 의하여 많이 이루어져 왔다. 동시에 촌락 집단과 이의 생활 구조에 대해서도 김택규, 여중철 등에 의해 많이 보고되어 있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문헌연구를 통하여, 연구의 인류학적 이론을 적용시켜 보고자 한다.

 

연구 내용

 

 한국 전통사회에 있어 개인과 집단의 관계는 많은 이론적 설명을 요구하고 있다. 집단을 떠난 개인은 존재할 수 없는 것으로 풀이하는 것이 전통문화의 한 근간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어떻게, 왜 개인이 집단을 떠나서 존재할 수 있는가를 체계적으로 이해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연구결과 개요

 

 남제주 삼달 부락 현지 조사를 통하여 전통적 생활세계를 향토문화로 보고 문화의 내용과 형태를 세계문화와 또 도시문화와 비교함으로써 생활세계의 기풍과 조직을 파악하려고 함.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