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
과제코드 1980-사회-3-나
연구과제명
  • 국문 : 전통적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 식생활의 전통양식
  • 영문 : -
연구책임자 윤서석(중앙대 교수)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0-02-28 ~ 1983-12-15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한국 식생활의 전통적 양식의 실상과 실상에 내포되어 있는 본질을 탐색하여 식생활에 담겨진 생활 문화적 특성을 파악하고 바른 인식을 갖게 함으로써 한국 정신문화의 개발과 새로운 시대에 대응할 생활문화 유형 정립에 기여하고자 함.

 

연구 배경

 

 한국 전통문화에 대한 연구와 인식이 우리 국민의 민족적 긍지와 주체성 확립에 필요함을 통감하고 그간 한국학에 관한 연구가 크게 진척되어 오는 바 한국 음식에 대한 역사적 실존에 관한 연구도 추진되어 오고 있다. 다만 전통적 식생활의 양식 형성과 변천에 크게 영향을 거쳐온 그 시대의 사회적 배경과의 연계성 연구는 미흡한 형편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식생활의 전통적 양식 형성에 내포되어 있는 사회적 배경 고찰에 주안을 두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 주로 문헌연구에 의함

 

연구 내용

 

1. 한국 식생활의 전통적 양식을 상고시대, 신라, 고려시대, 조선시대로 구분하여 변천상의 실상을 연구함.

2. 전통양식 형성의 요인을 이룬 자연배경을 고찰하고 시대적 변천의 주요요인을 사회배경, 가족제도와 가족윤리관의 측면에서 고찰함.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연구결과 개요

 

 반상양식에는 일상식으로서 식품배합·맛·색채감 등에서 조합성이 강조되고, 인본사상을 바탕에 둔 접대 범절이 규범화되어 있다. 의례음식 중 축의음식 양식에는 기복·분복·제화의식이 크게 상징되었고 제의 음식에는 상고성이 강하고 여러 종교의 순합성이 내재한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