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 | ||
---|---|---|---|
과제코드 | 1980-사회-2-가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임상원(고려대 교수)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0-02-28 ~ 1983-11-03 | 연구형태 |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한국사회가 대중사회인가 아닌가하는 논의는 대중사회에 대한 개념규정에 따라 있을 수 있으나 적어도 한국사회가 대중적 추세를 지닌 사회요 이러한 경향이 심화되어 가고 있음은 사실이다. 구체적인 실례로 소위 대중문화적 상품의 범람이요 이중의 하나로 주간지를 들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주간지의 현상을 분석 설명하고 한국사회에서 이들 주간지가 내포하고 있는 위기요인은 무엇이고 이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의 단서를 찾기 위한 것이다.
연구 배경
한국에서의 본격적인 주간지는 1964년 창간된 주간한국이다. 그러나 주간지가 본격적으로 일간 신문에서 경쟁적으로 발간하기 시작한 것은 1968년이다. 다시 1977년 말에는 주간지 발행 붐이 지방도시 부간으로까지 확산되었다. 1980년 현재 우리 주간지를 몇 개의 유형으로 구분해 보면, 1. 주간조선이 예로 될 수 있는 시사 해설 내지 교양물 중심의 것. 2. 주간경향이 예로 될 수 있는 오락물 중심의 것. 3. 주간부산과 같은 노골적인 외설물 중심의 것. 연구자는 이들을 교양 시사지, 황색지, 도색지라고 명명하고 싶다. 과연 이들의 내용이 그러한가 여부는 분석 대상이 될 것이다. 주간지에 대한 내용분석연구 등이 국내 외에서 있어왔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문헌 연구 및 주간지 독자의 독서 행태 분석 및 표본 추출방법에 의한 주간지 내용 분석
연구 내용
1. 한국에 있어서의 주간지의 역사 2. 주간지 제작 현황 3. 독자 분석 4. 주간지 내용의 분석 5. 주간지의 문제점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