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 ||
---|---|---|---|
과제코드 | 1980-역사-7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김영호(경북대 교수)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0-05-26 ~ 1981-06-30 | 연구형태 | 단독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1) 근대 한국에 있어서 서양화가 진행되는 과정에도 전통은 그것에 유착이 되기 때문에 결국 전통 내부에서 전통을 극복하려는 노력이 중요하고 그러한 노력의 하나로써의 실학 특히 다산 실학이 중요하며 그것을 통하여 주체적인 전통 극복의 논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2) 다산 실학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修己」면과 「治人」면이 각각 분리되어 별개로 연구되어 온 경향이 지배적이었으므로 그 연관 내지 통합의 논리를 추구함으로써 다산학의 체계가 정립될 수 있을 것이며, 이것은 한국사상사에 있어서 윤리사상과 경제사상이 분리 내지 갈등되는 측면을 극복하는 노력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배경
한국 학계에서 실학 일반에 관한 연구성과 및 다산실학에 관한 연구성과는 매우 많으며 그러한 연구성과를 배경으로 본 연구자도 실학 및 다산학에 관하여 몇 편의 졸고를 발표한 바 있고 이번에 이를 집대성하고자 한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1) 문한의 실증적 미시분석을 중시하되 그 사회경제사적 배경과 관련지어 이해하는 거시적 분석방법을 겸한다. (2) M. Weber를 비롯한 현대서양학계의 사상사 연구방법론을 참조하면서 가능한 한 이론적 model building을 시도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1) 서설 - 다산실학의 연구성과와 문제점 (2) 다산의 윤리사상 - 다산학에 있어서 주자학적 윤리관과 새로운 윤리관의 원리 및 구조 (3) 다산의 경제사상 - 이해(利害)의 정당화와 경제행위의 합리화론 및 경제적 정의론과 발전론 (4) 다산실학에 있어서 윤리와 전통의 통합구조 - 다산학의 체계론 (5) 다산학파론 - 다산 문인들의 실학사상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