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
과제코드 1980-역사-3-다
연구과제명
  • 국문 : 고려조 문화에 관한 연구 - 원의 간섭기에 있어서의 노비출신 인물들의 정치적 진출
  • 영문 : -
연구책임자 홍승기(한양대)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0-04-17 ~ 1981-12-31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본 연구를 추진하고자 하는 목적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노비 출신의 정치적 진출의 실제를 알아봄으로써 노비 신분층의 사회적 지위의 변화를 이해하고 나아가 신분 구조의 변화의 제 양상을 알아본다.

 둘째, 노비 출신의 정치적 진출과 이와 밀접히 연관되는 것으로 믿어지는 정치세력-왕실과 원-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당시 정치 권력 구조의 제 특성을 이해한다.

 셋째, 결국 이러한 작업의 추진을 통하여 원의 간섭시대가 한국사에 차지하고 있던 독특한 위치를 밝혀내는데 약간의 기여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연구 배경

 

 본 연구의 주제에 관한 과거의 연구는 거의 없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다만 1930년대에 일본인 학자들에 의한 고려노비 연구에 부수적으로 약간의 언급이 보이고 있을 뿐이다. 그러나 이것은 노비로서 정치적 진출을 이룰 수 있었던 몇 사람에 관한 단순한 사실의 지적에 그치고 있어서 연구라고 할 정도도 못됨은 물론이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본 연구의 추진에서 유의하게 될 방법론상의 제 문제는 아래에 보이는 바와 같다.

 첫째, 관련 노비의 사회적인 활동의 분석에 무엇보다도 치중한다. 이에 따라 주체적인 사례의 검토는 매우 중요하게 생각될 것이다.

 둘째, 다각적인 분석 방법에 철저를 기한다. 따라서 하나의 사실이 얼마나 많은 다른 사실과 연결되어 있는가 하는 점에 각별히 유념한다.

 

연구 내용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를 중심으로 하고 해당 문제에 다시 작은 항목을 설정하여 내용을 짤 계획이다.

 첫째, 노비 출신의 정치적 실제를 검토한다. 특히 이들의 정계 진출이 어떠한 계기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주목한다. 또한 이들의 정치적인 영향력에 대하여도 검토한다.

 둘째, 노비 출신 정치인과 국왕과의 관계를 검토한다. 특히 정치 권력 구조에서 왕권의 위치를 가늠하고 그 동향에 주목한다.

 셋째, 노비 출신 정치인과 원과의 관계를 검토한다. 특히 원의 고려에 대한 영향력의 정도에 주목하여 당시 고·원 관계를 이해한다.

 넷째, 노비 출신 정치인의 대두가 지니는 역사적인 의이를 검토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