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
과제코드 1980-사회-2-나
연구과제명
  • 국문 : 국민정서 순화를 위한 연구 - 한국대중문화의 역사적 고찰
  • 영문 : -
연구책임자 서정우(연세대 교수)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0-01-01 ~ 1980-12-31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1) 한국에 있어서 대중문화의 생성과 발전을 역사적 차원에서 고찰한다.

2) 한국에 있어서 대중문화에 관한 학문적 연구가 어떻게 시작해서 발전되어 왔는가를 규명한다.

 

연구 배경

 

1) 대중문화에 관한 일반적인 연구자료

2) 한국에 있어서 대중문화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자료

3) 대중문화에 관한 신문, 잡지, 관계 문헌

4) 문화인류학에 관한 일반적인 참고문헌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1) 문헌연구

대중 문화에 관한 문헌을 총정리하면서 생성과 발전을 고찰한다.

2) 내용분석

대중문화 관계문헌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파악한다.

연구자료인 경우, 연구주제 뿐만 아니라 연구방법도 동시에 범주화한다.

3) 대중문화 관계자의 의견 청취

초기 대중문화의 발전에 기여한 관계자를 방문하여 그 당시 상황과 문제점을 발견한다.

 

연구 내용

 

1) 대중문화에 대한 개념규정 작업

2) 한국에 있어서 초기에 대두된 대중문화 형태와 내용

3) 대중문화 형태와 내용의 변천(시대적 특성)

4) 대중문화와 매스미디어의 관계

5) 대중문화와 서민문화의 관계

6) 대중문화 관계 연구의 발전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연구결과 개요

 

1) 대중문화는 한국의 경우, 해방·동란기의 인구이동, 계층의 붕괴 등에 기인한다.

2) 해방이후 대중매체가 크게 증가했다.

3) 대중문화의 연구는 주로 해방 이후부터이며 일반이론 중심이다. 그 주제는 빈도순으로 볼 때 매스미디어, 대중정치, 대중사회의 전개과정, 대중문화의 예술성, 인간 소외 등이다. 이러한 연구는 증가 추세에 있으며, 경험적 연구의 시도도 시작되고 있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