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81-국민윤리-1-가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인의 윤리관 Ⅰ
  • 영문 : -
연구책임자 이부영(서울대 부교수)
공동연구자
  • 이완재 / 영남대학교 /
  • 신오현 / 경북대학교 /
  • 황준연 / 원광대학교 /
  • 신옥희 / 이화여자대학교 /
  • 홍승면 / 덕성여자대학교 /
  • 황필호 / 동국대학교 /
  • 차재호 / 서울대학교 /
  • 심영희 / 한양대학교 /
연구기간 1981-03-01 ~ 1982-06-11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근세 한국의 윤리관에 대한 종합적 평가를 긍정적, 부정적 측면에서 시도하고 현대 한국인의 국민성격의 병폐를 분석하여 국민성의 창조적 측면의 활용방안을 강구하여 새로운 윤리성을 정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연구 배경

 

 한국인의 성격에 관한 각종 연구 및 조사 보고를 토대로 이를 이조 이후 근대에 이르는 전통적 윤리관 및 가치관에 관한 연구와 연결시켜 고찰하되 제도적 측면에 대한 고찰과 내면적 가치체계에 대한 고찰을 병행함.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유학, 철학, 사회학, 심리학, 정신의학 등 각 방면에서 한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해 기술 통합적 연구 방법을 쓰되 이조 이후의 시간적 요소에 따르는 연구, 현재의 상황, 미래의 방향 등에 관한 개별적 추구를 시도하되 각 개별 연구에 가능한 한 제도적 측면의 연구와 가치의 측면의 연구를 병행함.

 

연구 내용

 

 한국인 성격 형성에 끼친 근대의 전통적 가치 규범과 일제 이후 한국 사회 변천이 준 영향의 비중으로 보아 한국인 국민성에는 긍정적 부정적 측면이 발견될 것이며 이를 구명함으로써 창조적 실천 가능성을 찾을 수 있으리라는 가설 아래 조선조 윤리관, 일제의 영향, 현대의 한국인의 성격상의 부정적 긍정적 측면을 분석하는 내용으로 구성되며 창조성의 활성 방안도 유추할 수 있을 것으로 봄.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가. 조선시대의 윤리관

1) 긍정적 측면에서 본 유교윤리 (이완재)

2) 비판적 입장에서 본 유교윤리 (신오현)

 3) 조선시대 유교윤리의 전개 (황준연)

4) 조선시대 유교윤리의 특성과 한계 (신옥희)

나. 일제 통치기의 윤리관

5) 일제통치가 한국인의 윤리관에 끼친 영향 (홍승면)

다. 현대 한국인의 성격

6) 한국인 성격의 심리학적 고찰 (이부영)

7) 한국인의 부정적 성격에 대한 종교학적 고찰 (황필호)

라. 국민성의 활성화 시안

8) 시안의 심리학적 접근 (차재호)

9) 시안의 사회제도적 접근 (심영희)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