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81-교육-5
연구과제명
  • 국문 : 정신교육과 과학교육의 상보성에 관한 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차경수(서울대 조교수)
공동연구자
  • 박성래 / 한국외국어대학교 / 교수
  • 이초식 / 고려대학교 / 교수
연구기간 1981-01-01 ~ 1982-05-19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근대화에 가장 중요했던 20세기 초를 일제의 식민지로 보낸 우리나라는 1945년의 광복 이후 한편으로는 발달된 서양의 과학기술을 도입하여 국가를 근대화하고, 한편으로는 전통적인 민족문화를 창조적으로 재구성해야 하는 두 개의 어려운 과제를 갖게 되었다. 과학기술을 무시한 정신교육도 시대착오적인 것이지만 정신교육을 무시한 과학기술도 우리 민족과 국가의 발전에 공헌하지 못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정신교육과 과학 교육의 상치성 및 상보성을 밝혀서 이 둘이 사회와 국가의 발전에 공헌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배경

 

 1970년대 이후 정신교육과 과학교육의 문제는 비록 체계적으로 서로 관련되어 연구되는 경우는 흔하지 못했으나 우리 사회의 가장 중요한 관심사의 하나이었다. 국민정신교육이나 인격교육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으며 전통적인 민족문화에 대한 연구도 많이 진행되었다. 또 과학기술교육도 우리의 산업화에 의하여 많은 관심을 모았다. 이러한 연구의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그 방향을 모색하면 연구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이 연구의 방법으로서는 일반적으로 문헌연구의 방법에 의존한다. 정신교육과 과학기술교육의 개념, 본질, 특징 등을 밝히고, 국가적인 차원에서 추진된 이를 정책의 방향을 분석하여 연구의 목적에 필요한 결론을 내린다.

 

연구 내용

 

 이 연구는 엄밀한 의미에서의 가설검증을 시도하지 않는다. 그러나 전통적인 민족문화를 바탕으로 한 정신교육기 과학·기술 교육을 이끌어 가는 바탕이 되어야 할 것이며, 또 정신교육은 현대의 과학·기술 교육으로부터 많은 도움을 얻어야 하는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이 연구의 커다란 가설이다.

 그 중요 내용과 집필 분담은 다음과 같다.

(1) 한국 전통사회에 있어서의 정신교육과 과학기술 교육의 상보성 (박성래)

(2) 서양 선진국에 있어서의 정신교육과 과학기술 교육의 상보성 (이초식)

(3) 현대 한국사회에 있어서의 정신교육과 과학기술 교육의 상보성 (차경수)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가. 한국전통사회에 있어서의 정신교육과 과학기술 교육의 상보성

나. 서양선진국에 있어서의 정신교육과 과학기술 교육의 상보성

다. 현대 한국사회에 있어서의 정신교육과 과학기술 교육의 상보성

연구결과

연구결과 개요

 

 정신교육과 과학교육의 상보성을 위하여:

① 양자는 이원분리적인 것으로 생각되어서는 안 되며, 정신교육은 과학을 바탕으로, 과학교육은 가치의 문제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② 전통문화와  현대과학의 조화를 기해야 한다.

③ 대화를 위한 위원회를 조직해야 한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