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
과제코드 1981-교육-3-다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교육 고전에 관한 연구 - 다. 개화기 및 일제시대 교육 고전
  • 영문 : -
연구책임자 손인수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1-12-01 ~ 1982-09-13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고전이 수세기 동안 문화비평가들의 날카로운 비평과 수많은 독자들의 비판을 견디어온 작품이라고 한다면, 아직도 개화기 이후의 교육고전은 시간적으로 보아서 올바르게 비평되고 정리된 것 같지 않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 근대정신사의 맥락 속에서 개화기로부터 해방에 이르기까지의 교육고전(저서·논문·논설)을 찾아 이를 현대교육에 연결시켜 보려고 한다.

 실로 이 시기의 교육고전의 올바른 탐구가 이루어질 때 오늘날 탈이념적이라고 비판받는 한국교육도 비로소 차원 높은 창조의 논리를 잉태할 수가 있을 것이다.

 

연구 배경

 

 1876년 일본과의 강화도 조약으로 한국교육사의 새로운 분수령을 이룬 신교육의 발단기로부터 일제하에 이르기까지 국민교육·민족교육의 뿌리를 찾고자 한다.

 그 자료는 이 시기에 저술된 저서·논문·논설을 수집하여 정신사의 입장에서 교육적인 것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1. 문헌 연구 방법에 의하면서 교육적 관점을 중시한다.

2. 필요할 때는 현지조사 및 면접을 병행한다.

 

연구 내용

 

1. 전통적 유교교육과 신교육(근대교육)의 개념파악

2. 개화기의 교육고전 개념 및 내용 파악

3. 식민지하 교육구국운동에 있어서의 교육고전 개념 및 내용 파악

4. 이 시기의 개화 및 교육구국운동의 교육적·정신적 과제는 발전 한국교육의 지도가 될 것이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