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
과제코드 1981-정치경제-4-나
연구과제명
  • 국문 : 현대한국문학의 사상적 바탕에 관한 연구 - 나. 인간주의·민중주의·민족주의 문학에 관한 연구 -한국 근대문학사에 나타난 그 흐름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용직(서울대 교수)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1-01-01 ~ 1982-05-19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인간주의·민중주의·민족주의 문학 등의 용어는 한국 근대 문학의 형성 전개와 함께 곧 문제가 되어온 개념들이다. 특히 이들 용어는 1920년대 중반기 경에 대두되어 그들 다신이 인간과 그 현실에 입각했으며 민중에 발판을 둔 문학을 지향한다고 나선 신경향파의 형성과 함께 뚜렷이 우리 문학의 한 쟁점이 되었다. 그리고 그 개념이 서로 다르게 사용되어 갖가지 혼란을 빚었다. 이제 이들을 검토, 분석해서 정리하려는 것이다.

 

연구 배경

 

 과거 우리 주변에서 이에 대한 연구는 단편적인 평문으로 발표된데 그친다. 본격적 연구가 기대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연구자료로는 1920년대 중반기 경부터 우리 주변에서 간행된 일간지 및 월간지들이 있다.  또한 그간 우리 주변에서 이루어진 한국 현대문학사와 여러 연구 논문이 원용될 수 있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일차적으로 연구 내용에 관계되는 자료를 모두 수집한다. 이들을 선입견을 배제한 상태에서 분석, 검토한 다음 정리해낸다. 그리고 그들을 논문의 틀에 따라 작성 보고하도록 한다.

 

연구 내용

 

 문예 비평의 측면에서 볼 때 인간주의, 민중주의, 민족주의 등의 용어는 의식, 사상, 문예사조론의 입장이다. 문예사조는 문학을 정리·기술하는 방편이지 문학 자체가 아니다. 따라서 그를 통해 일방적으로 문학을 재단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이제까지 우리 주변에서 시도되어온 이와 같은 방법은 보다 적극적으로 문학의 진실이 옹호되는 각도로 수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 결과는 우리 주변의 통념에 대한 개정으로 나타날 것이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