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1981-정치경제-1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진덕규(이화여대 부교수)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1-04-01 ~ 1982-08-17 | 연구형태 | 공동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1. 민주주의의 이론체계를 현대의 산업사회, 특히 비서구 사회의 상황과 연관시켜 재정립하며, 2. 공산주의와의 이론적인 대비를 통하여 민주주의의 체제적 우위성을 확립할 수 있는 이론체계의 모색, 3. 그리고 한국정치사회가 지향해야 할 민주주의의 실제적인 체제적 정화의 방안을 탐구함으로써 남북한 관계에서의 한국의 체제적 우위를 입증함.
연구 배경
본 연구는 특히 한국의 정치사회에서 민주주의에 대한 논리적인 체계성의 미정립에서 오는 혼란을 극복하고, 우리 사회가 지향해야 할 민주주의적 가치성을 논리적으로 체계화할 필요성에서 이 연구를 시작함. 여기에 소요되는 자료는 서구의 이론뿐만 아니라 한국의 여러가지 산재된 이론들을 수집 이용할 것임.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주로 다음의 방법에 의함 1. 문헌학적 검토 2. 실증적인 자료의 개발과 고찰 3. 비교론적 가설의 정립과 검증 4. 특히 개별 주제의 특수성을 살리면서 종합적인 체계를 유지하게 함.
연구 내용
다음의 소주제를 분류하여 진행함. 1. 공산주의 이론과 실제 2. 민주주의와 민족주의의 연계에 관한 고찰 3. 민족주의 전개 과정에 관한 역사적 고찰 4. 정치사회화 과정에서 남북한 주민의 의식형성 5. 사회 경제 사상에서의 남북한 비교 6. 민족사적 정통성에서 본 북한의 이단주의 연구 등임.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가. 마르크스주의에 있어서 노동과 소외문제 - 헤겔과 비교하여 나. 공산주의의 이론과 실제 - 유물사관을 중심으로 다. 전통적 자유평론과 민주주의의 연계에 관한 시론 라. 민주주의와 민족주의의 연계에 관한 정치사적 고찰 마. 민족주의 전개과정에 관한 역사적 고찰 - 사상사적 기반을 중심으로 바. 정치사회화 과정에서 본 남북한 주민의 의식형성 비교 사. 정치사회화 과정에서 본 남북한 주민의 의식형성 비교 아. 사회경제사상에 입각한 시장경제와 계획경제의 비교 (사회경제사상에 있어서 대북한 비교) 자. 민족사적 정통성에서본 「정의부」의 민주체제 -공화적 민족주의 계열을 중심으로 (민족사적 정통성에서 본 북한의 이단주의)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