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1981-사회-1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강신표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1-03-18 ~ 1982-12-31 | 연구형태 | 공동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전통적 생활 양식에 관한 연구는 그 문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극히 미흡한 단계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특히, 사회학, 경제학, 정치학, 사학 등의 인접 학문 분야에서 전통적인 제도나 행위에 관한 연구가 있어왔으나 거의가 단편적이고 부분적인 서술이나 또는 형태의 분류에 치중하여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활의 양식과 구조적인 측면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데 그 의의를 찾고자 한다.
연구 배경
본 연구는 3개년(1979-1981) 계획으로 진행되어온 「전통적 생활 양식에 관한 연구」의 최종년도에 해당된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각각의 연구는 다음과 같은 대체적인 공통의 방법을 채택한다. • 문헌 연구: 전통사회 일반에 관한 제도, 양식에 대한 기존 연구 및 조사자료에 대한 재평가 시도한다. • 현지 조사: 인류학적인 현지조사 방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한다. • 분석과 해석: 조사된 자료는 사회적 맥락 속에서 일차적으로 분석한 후에 인류학적인 이론과 모델을 적용하여 비교 검토한다.
연구 내용
① 행동양식 특히 언어 생활 등에 나타나는 가족주의적 내지는 규칙이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분석한다. ② 농촌생태환경을 분석하여 생태학적 환경에 문화적 요소들의 적응과정과 그에 따른 문화양상을 이해한다. ③ 전통적 생활양식을 구성하는는 사회적 제도들의 정치적 기능 분석 ④ 산업화에 따른 전통적 생활 양식의 변화과정을 분석한다. ⑤ 서민층의 전통의상을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고찰한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가. 전통적 생활양식의 생태학적 측면 (권이구/ 영남대) 나. 전통적 생활양식의 정치적 측면 (김광억/ 서울대) 다. 전통적 생활양식의 경제적 측면 (조옥라/ 서강대) 라. 우리 의생활의 전통양식 (이경자/ 이화여대) 마. 전통적 생활양식의 구조에 관한 연구 (강신표) |
||
연구결과 | 연구결과 개요
조선 전통문화의 문법을 '음양원리에 입각한 대대적 인지구조'로 형식화하고 그를 다시 급수성, 집단성, 연극·의례성의 셋으로 분석 정리하여 볼 때, 한·중·일 등의 한자 문화권의 논리한 영어 문화권 논리인 'Yes or No'가 아닌 'Yes and/or No'이다. 즉 계약이란 이미 서양적인 것이고, 우리의 것은 약속인데 그는 안 지켜질 수도 있으며 또 그를 용납한 것이 우리 문화의 전통이다. 이는 서구 산업사회와 비 서구산업사회를 game과 ritual로 특정지운 Levi-Strauss의 견해와 상통하는 것이기도 하다.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