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 | ||
---|---|---|---|
과제코드 | 1981-예술-1-아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최종민(서울대)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1-04-01 ~ 1982-12-31 | 연구형태 |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현재 전하고 있는 무악(巫樂) 및 시나위 음악을 통해서 그 현상의 뒤에 숨어있는 아름다움의 원천을 캐내고 그 미의 근원과 기준이 어떻게 굿 의식 음악을 현재와 같은 형태로 발달시킬 수 있었던가를 살펴본다.
연구 배경
현재까지 많은 분들에 의하여 굿 의식이 채집되고 또 민속학이나 국문학, 음악, 무용, 교육의 측면에서 조사 연구하여 발표한 논문과 저서들이 상당수에 이르고 있다. 본인도 이 방면의 연구에 다소의 업적이 있는 바 특히 현지 조사를 통하여 수집한 녹음자료가 60분짜리 테이프 270여개가 정리되어 있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선행연구 업적의 정리 분석을 통하여 내가 연구하고 있는 방법에 오류가 있는가를 검토하고 또 새로운 정보를 첨가하여 연구 추진 방향을 확정하고 계속 field work을 통한 자료를 수집 보완하고 이를 채보 분석 정리 해석하여 연구의 목표인 결론을 얻어내도록 한다.
연구 내용
굿이라고 하는 전통적인 巫의식을 통하여 한국인의 인생관이나 신상관을 고찰하고 그러한 생각이 어떻게 굿 의식과 음악이나 무용과 관계를 가지고 오늘날과 같은 형태로 발달하게 되었는가를 살펴보면 그 외형 안에 숨어있음직한 한국인의 미 의식이 밝혀질 것이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