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 | ||
---|---|---|---|
과제코드 | 1981-예술-1-바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서한범(서울대)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1-04-01 ~ 1982-12-31 | 연구형태 |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가악을 통한 한국인의 미의식이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모해 왔는가를, 그리고 현대에선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가악이 지닌 특성과 발전을 나름대로 정리코자 함.
연구 배경
가악의 악보자료는 이주환의 가곡보, 가사보, 시조악보, 김기수의 남, 여창 가곡보, 이양교의 가사보, 국립국악원의 가곡, 가사, 시조악보가 있으며 고악보도 다수 전한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참고서적, 악보, 녹음 테이프, 기타 자료 수집한 후 가곡, 가사, 시조를 분립 연구 공통점을 찾겠다. 그리하여 가악이 지닌 음악미가 어떻게 표출되어 왔는가를 밝혀 나간다.
연구 내용
가악의 미를 가곡(남, 여)창, 시조창, 가사창으로 구분하여 선율, 음계, 장식음, 장단의 구조에서 고찰하고, 가악의 예술적인 미의식이 민속악의 일반 성악곡과 상이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