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 | ||
---|---|---|---|
과제코드 | 1981-예술-1-마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한명희(강릉대 전임강사)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1-04-01 ~ 1982-12-31 | 연구형태 |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잡다한 문화현상의 저변에는 시대를 관류하는 미의식이 있기 마련이며, 따라서 우리네 전통음악의 저번에도 그것을 키워낸 공통된 미의식이 있기 마련이다. 그래서 이같은 제반 예술현상의 밑바탕을 이루는 우리들 고유의 미의식을 찾아내는 작업은 문화현상으로서의 우리네 전통음악을 올바로 이해하는 지름길이자 앞으로 새로운 민족음악을 창작하는 작업의 초석이라고 하겠다.
연구 배경
문화적 자아의식이 팽배해짐에 따라서 국악에 대한 연구도 활발해가고 따라서 많은 관계자들에 의해서 나름대로 국악의 특징이나 장점, 내지는 미의식을 피력해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뚜렷한 공통분모를 추출하지 못한 상태에서 암중모색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음악에 관한 문헌은 물론 기타 사상서며 역사서, 문집 등을 섭렵하여 우리의 미관을 정립해 본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우선 각 분야의 참고서적을 섭렵하여 미의식이나 음악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여기서 하나의 사상적 흐름을 파악한다. 그리고 사상적 체계에 우리의 현존하는 전통음악을 분석적으로 대비시켜가며 상고간의 관계를 구명한다.
연구 내용
고유한 한국사상 속에서 독특한 미의식을 여러 문헌을 통해서 천착 정리해보고, 연후에 그같은 미의식이 전통음악에 어떻게 용용되어 있으며 어떻게 영향을 주어왔는가를 구명해 본다. 우리의 문화는 유교, 불교, 도교적인 색채 외에도 음양오행적인 사상, 혹은 무교의식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이들 제반 사상들이 음악에도 깊이 영향을 주었음에 틀림없을 것이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