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 | ||
---|---|---|---|
과제코드 | 1981-역사-3-다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정두희(전북대 조교수)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1-03-01 ~ 1981-12-31 | 연구형태 |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조선의 세종대는 우리의 역사상 가장 화려한 문화적 발전의 시기였다고 믿어지고 있다. 때문에 이 시기가 또한 정치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시기였다는 사실이 지금까지 간과되어 왔었다고 생각한다. 당시의 문화가 특히 관찬문화라고도 말하여질 수 있다면 이는 당대의 정치와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세종대는 정치적으로 가장 안정된 때였으며, 이후 세조-성종조의 발전에는 큰 영향을 미친 때였다. 따라서 당시 권력구조의 형성과정이나 그 성격에 대한 이해는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의의가 여기에 있다고 하겠다.
연구 배경
• 연구 배경: 지금까지 이 문제에 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형편이다. 조선초기의 정치사 연구는 태조에서 태종에 이르는 건국초기와 세조-성종대에 치중되어 있으며, 세종대에 대하여는 무관심하여 왔었다. 이것이 당시의 역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공백이 되어 왔다고 생각한다. • 자료: 본 연구에 필요한 자료는 당대에 만들어진 문집이나 혹은 후대에 편찬된 몇 가지 문헌들이 추가될 수는 있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자료는 당시의 실록을 능가할 것이 없다고 믿는다. 본 연구는 이런 실록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것 이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주로 당시의 왕조실록을 중심으로 한 문헌연구가 될 것이다. 즉 실록에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소기의 성과를 얻으려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세종대 의정부의 권한 및 구성을 알아보고, 이를 왕권 및 하부 관료조직과 비교하여 봄으로써 당시의 정치 권력 구조의 특징을 추출해내려고 한다.
연구 내용
세종대에는 의정부의 역할이 중요시되던 때였다. 이와 같은 사실은 의정부의 권한을 대폭 축소시켰던 태종대와는 매우 다른 점이었다. 이는 물론 태종의 정치개혁 이전으로의 단순한 복지가 아니었다. 따라서 태종과는 일견 상반되는 듯이 보이는 세종의 정치적 구상을 왜,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그 결과는 어떠했을까?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를 진행될 것이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