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
과제코드 1981-역사-3-가
연구과제명
  • 국문 : 세종조 문화의 현대사적 재인식 - 가. 세종조의 농업기술 정책 (조선세종대의 농업기술정책)
  • 영문 : -
연구책임자 이태진(서울대 조교수)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1-03-01 ~ 1981-12-31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조선왕조 세종대는 한국사에서 가장 중요한 문화 발전기의 하나로 평가되는데, 본 연구는 그러한 문화 발전의 바탕을 이해하려는 목적에서 당시의 제일차 경제인 농업 발전을 위해 취하여진 기술 개발 정책을 살피고자 한다.

 

연구 배경

 

 우리나라 농업기술에 대한 연구는 자료상의 조건으로 주로 조선 후기에 집중되어, 기술 발전이 성과도 18세기에만 있는 것으로 강조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농업기술은 본래 단계적인 발전을 거치는 것이므로 그 이전 시기에서의 발전 단계도 반드시 검토되어야 하는 바, 세종대를 전후한 15세기는 그 중 주목되는 시기의 하나이다. 이 시기의 주된 자료는 <<농사직설>> 하나로서 빈약한 편이나, 연대기의 기록 및 송대 강남농법에 관한 기존 연구성과 등의 활용을 통해 자료상의 제약은 해결될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① 15세기 이전의 농업기술의 수준을 단편적이나마 <<삼국사기>> 등 기록을 통해 일단 정리하며, <<농사직설>> 것의 발전 정도를 파악한다.

② <<농사직설>> 것을 강남농법의 그것과 대비 검토한다.

③ 이 시기의 농업 기술 발전이 농업 경제의 향상, 나아가서는 사회문화 전반의 수준 향상에 끼친 영향을 상정하여 본다.

 

연구 내용

 

 고려 말 이래 우리나라는 학문·사상적으로 중국 송대에 이루어진 신유학을 수용하는 등 문화 방향에 일대 전환을 가지게 된다. 이 전환은 어디까지나 자기 발전을 꾀하기 위한 것으로, 농업 측면에서도 송대에 달성된 새로운 기술로서 강남농법의 장점을 알아 이의 도입 실현을 꾀차게 된다. 이른바 신흥사대부세력에 의한 이러한 노력은 왕조교체기의 정치적 혼란 속에서는 실현의 기회를 제대로 가지지 못하다가, 결국 세종대에 그 성과를 일단 거두는 것으로  규지되는 바, <<농사직설>>의 편간은 그러한 노력의 결집으로서, 내용적으로도 송대 강남농법과 대비되는 점이 많아 주목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