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
과제코드 1981-역사-3-나
연구과제명
  • 국문 : 세종조 문화의 현대사적 재인식 - 나. 세종조의 역사의식
  • 영문 : -
연구책임자 정구복(충남대 조교수)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1-03-01 ~ 1981-12-31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세종조는 영토의 확장, 대명외교의 정립, 내용의 정립, 세종의 학문 장려 등으로 문화가 크게 발전하였다. 이 시기의 역사의식은 고려시대의 역사의식을 계승하였고, 중국문화의 깊은 연구로 인하여 깊고 넓어지게 되었다. 또한 이 시대에는 많은 사서의 편찬이 있었는 바 이 시대의 역사의식이 어떠하였으며, 사서의 성격은 어떠하였는가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배경

 

 본인은 그간 10여년 간에 걸쳐 조선초기에 편찬된 권근의 동국사략, 세조 세종 때에 편찬된 삼국사절요 등에 관한 일련의 연구를 하여 왔다. 이러한 연구 업적을 기반으로 하여 이들 사서에 반영된 사학사상과 당시 지식인들이 가졌던 사학사상과의 관련을 연구해 보려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문헌적 연구 방법을 쓸 것임. 사상사의 탐구 방법 중 이 시기 지식인들의 사상을 종합 연구함으로써 이 시기의 일반적인 사조를 규명하려 한다.

 

연구 내용

 

 이 시기에 있어서의 역사의 인식, 당시대의 시대의식, 역사의 효용성 문제, 역사와 현실정치, 또는 경학과의 관계, 역사의 방향에 관한 문제 등의 항목에 착안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현대적인 관점에서 해석 정리할 것임.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