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
과제코드 1982-국민윤리-3-라
연구과제명
  • 국문 : 우리나라 민족의식의 이론적 전개 과정에 관한 연구 -  라. 1945년 이후의 민족의식의 전개 과정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학준(서울대 부교수)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2-05-24 ~ 1983-07-06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민족의 분단을 해소하고 통일을 달성할 수 있는 원동력은 한국민족주의이다. 한국민족주의의 활력을 통원함으로써 국제정치상에 있어서도 자기신원(내셔널·아이덴티티)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를 통일의 밑거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해방 이후 우리의 민족의식이 어떻게 성장·발전해 나왔으며 또 반면에 그를 저해한 요인이 무엇이었나를 구명하고자 한다.

 

연구 배경

 

 한국민족주의에 대한 연구는 1945년 이전의 시기에 국한되어 있다. 따라서 1945년 이후의 시기에 대한 연구는 개척적 연구라고 하겠다. 그러나 자료가 없는 것은 아니다.

① 1945 - 1948년의 민족운동(분단반대운동)

② 4·19로 표상된 민족의식

③ 1960년대 이후의 각종 민족주의 운동 또는 민족의식의 표출 등을 살필 수 있겠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① 각종 사회·정치운동에 관련된 문헌 및 자료의 내용분석

② 역사적 방법 (historical analysis)

③ 이데올로기적 접근 (ideological approach)

 

연구 내용

 

① 1945년 이후의 민족의식은 대체로 통일지향운동에서 받아 성장했다.

② 대내적으로 경제건설 사상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이 결과적으로 민족주의를 희생시켰다.

③ 독재체제 강화의 수단으로 국수적 민족주의성향을 부축이는 경향도 있었다.

④ 민족주의의 궁극목표는 통일의 달성이어야 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