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 | ||
---|---|---|---|
과제코드 | 1982-국민윤리-2-나-1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박순영(연세대 부교수)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2-05-24 ~ 1983-12-26 | 연구형태 | 단독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현대국가의 형성 이후 우리나라는 국민적 단결과 사회적인 통합의 위기를 무수히 겪어왔다. 이러한 실천적인 밝히고 새로운 형성을 위한 단계로 어떤 공동체의 윤리가 요청되는가를 살펴보려 한다.
우리나라의 정치, 문화, 사회, 철학계의 전문학자들에 의해서 이 문제는 무수히 논의되었다. 그러나 그것이 우리들의 현실에서 실천적인 의미를 주지 못하거나 또는 실천 가능성을 주지 못하는 것을 해명해야 한다. 지금까지의 국토통일원, 정신문화연구원, 사회정화위원회, 현대사회연구소 등에서 나온 문헌을 토대로 하여 분석연구한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문헌조사에 의한 방법과 의식의 본질 이론에 대한 철학적 심리학적인 가설을 검토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윤리설정의 가능성을 위해서는 여러 번에 걸친 전문분야 학자들과으 대담과 토의를 보조적으로 사용하려 한다.
연구 내용
공동체의식은 공통보편적인 문화나 소위 정치 문화의 발전에 매여있다. 여기서 초기 사회화 과정에서 청소년기의 의식형성 기간에 이르는 의식구조의 발전 단계를 분석하여 볼 때 분명히 통합과 단결을 저해하는 요소가 있을 것이다. 이를 어떤 행위 규볌(운리)를 통해서 재구성할 수 있을지 라는 가설에서 시작된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