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
과제코드 1982-국민윤리-2-가-1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인의 윤리관Ⅱ: 가. 한국인의 전통윤리 - 1) 한국의 전통적 윤리사상의 발견
  • 영문 : -
연구책임자 민동근(충남대 교수)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2-01-01 ~ 1983-07-06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1. 현재 미개척 분야인 한국의 전통적 윤리사상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국민정신의 내실화에 직접 기여코자 함.

2. 국민의 행동을 보다 도덕적으로 고양하는 데 간접 목적이 있음.

3. 우리 민족의 우수성·미풍양속을 깨달아서 의식개혁에 공헌코자 함.

 

연구 배경

 

1. 1978년 8월 18일~19일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의 사회윤리 협의회에서 한국윤리사상사를 연구할 것을 참석교수 23명이 희망하였으나 연구에 착수조차 못한 실정임.

2. 본인이 한국윤리사상사(상)를 연구발표함.

3. 중국의 「사기」, 「한서」, 「후한서」, 「삼국지」, 「진서」 기타 다수와, 원효의 「발심 수행장」, 의천의 「원종문류」, 「이상국집」, 「목은집」, 「포은집」, 「국조오예의」 기타 근세 현대의 문헌 다수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1. 우리 민족의 윤리사상과 정신의 장점을 재발견하고 국민정신을 어떻게 개혁할 것인가를 연구함.

2. 따라서 윤리사상의 역사적 연구를 토대로 한 제문헌의 정리와 이론적 사상 정립과 종합적 체계적 연구방법이 수행될 것임. 문헌 연구임.

 

연구 내용

 

1. 고조선의 윤리사상

2. 동이의 윤리사상

3. 통일신라의 윤리사상

4. 고려의 윤리사상

5. 조선왕조의 윤리사상

6. 현대의 윤리사상

7. 국민정신의 내실화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