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 | ||
---|---|---|---|
과제코드 | 1982-교육윤리-4-다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임재윤(전남대 전임 강사)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2-04-20 ~ 1983-10-20 | 연구형태 | 단독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우리나라 근대 역사의 중요한 시점을 형성하고 있는 한말의 시대적 특징 가운데 전통적인 동양권의 국제질서로부터 전세계적, 특히 서구 세력과의 맞부딪힘은 우리의 현실 인식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그 중 미국과의 통상 개국 이래 밀접한 관계를 유지시켜 오면서 100여년이 지난 지금 오늘의 우리 시대는 새로운 차원의 역사적 발전을 기해야 하는 과제를 갖게 되었다. 특히 교육은 「교육입국」 이념을 내세운 한말의 시대적 상황 이래 오늘날 우리와 우리 민족의 삶의 조건을 개선해야 될 계속되는 압력을 받고 있다. 이러한 차제에 지난 100여년 동안의 우리 교육의 변천, 특히 교육내용과 방법의 변천을 고찰하는 것은 타영역의 문제와 더불어 한국 교육의 현재와 미래를 이해하는 초석이 될 것임은 틀림없다. 따라서 각급 학교의 교과목, 시간배당, 내용 등과 교수·학습 방법, 그 조직 등을 시대별로 분석하고 그 영향이 어디로부터 온 것이며 효과는 어떠하였는가를 파악하게 될 것이다.
연구 배경
과거 100년을 구분하여 보면 한말과 일제시대 그리고 해방 이후 대한민국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서로 다른 이 세계관의 시대에 대해서 이제까지 각 시대의 교육에 대한 연구가 상당히 집중적으로 이루어져 온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과거 100년을 오늘까지 연결하는, 따라서 근대의 발단기와 오늘을 연결하고 내일을 이을 수 있는 연계성을 발견하는데에 있어서는 미흡한 점이 없다고 할 수만은 없다. 이 점에서 특히 서구적인 영향으로 점철되어진 이 시기의 교육내용과 방법을 그 근원과 내용 및 당시대의 교육이 미친 효과라고 하는 점에서 분석적으로 고찰한다고 하는 것은 금일의 교육문제를 파악하는데 필수적인 것이라고 보지않을 수 없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 문헌 연구 1. 각 시대 각급학교의 교육내용과 방법에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여 각급 학교별로 분석 종합한다. 2. 각 시대의 교육내용과 방법에 관련된 국가의 교육정책과 그 목표에 관련된 자료를 수집 분석한다. 3. 각 시대의 교육내용과 방법의 구성에 기여한 내외적 영향을 분석하고 이들이 끼친 효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한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