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1982-정치경제-18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신도성(명지대 통일문제연구소 소장)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82-05-31 ~ 1983-10-20 | 연구형태 | 공동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1. 한반도 통일의 가장 심각한 장애요인은 이데올로기 대립과 분열에 있으며, 이로 인한 민족사의 분열과 민족의 이질화임. 2. 80년대에는 남북한의 정치외교전이 치열하게 전개될 것이며 민족 정통성의 체제경쟁이 심화될 것이다. 3. 우리가 이와 같은 시련을 극복하고 민족화합과 평화통일의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새롭고 전진적인 지도 이념의 확립이 요청된다. 4. 이러한 요청에 부응하기 위하여 새롭고 고차적인 한민족 고유의 통일이념을 정립하고자 함.
연구 배경
1. 북으로부터의 끊임없는 이데올로기 도전과 정통성의 도전, 그리고 통일공세는 날로 격화되고 있음. 2. 우리 내부에서도 청년학생의 좌경화 경향이 심화되고, 한편 자본주의의 부패성이 노정됨으로써 국민사상의 혼미와 이데올로기적 위기의식이 고조되고 있음. 3.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고 국민적 통합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광신적 공산주의와 산업자본주의의 부패성을 아울러 초극할 수 있는 고차적 지도이념의 확립이 급선무이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국내외 각종 문헌을 참고하여 남북한 이데올로기 실상을 철저히 분석한 토대 위에서 남북 이데올로기 분열을 극복하고 평화통일의 지도이념을 확립하기 위해 창조적인 우리의 새 민족이념을 도출하는데 연구의 중점을 두고자 함.
연구 내용
1. 문제의 제기 2. 민족주의 일반론 3. 민족주의 개념에 대한 남북한의 차이 4. 지금까지 논의되어 왔던 민족주의 5. 통일이념으로서의 「새 한민족주의」 6. 결론과 건의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