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1982-정치경제-12
연구과제명
  • 국문 : 북한의 주체철학에 대한 분석 비판
  • 영문 : -
연구책임자 조태훈(충북대 조교수)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82-05-31 ~ 1983-06-22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공산주의 이데올로기는 혁명이데올로기와 통치이데올로기로 대별할 수 있다. 전자는 기존 질서에 대한 혁명적 변화를 정당화하는 기능을, 그리고 후자는 지도자의 권위와 그 권력행사를 합리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달리 말해서 전자는 국내적 및 국제적으로 힘의 균형을 공산주의자들에게 유리하게 변화시키는 목적, 즉 「혁명정세」를 조성키 위한 정치적·심리적 도구이며, 후자는 기존 정치체제의 권력행사를 정당화시키는 역할과 아울러 사회적 총동원을 합리화 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같은 시각에서, 북한의 통치이데올로기인 이른바 「주체사상」의 기반을 이루는 「주체철학」의 형성과정과 그 기능, 나아가 그것이 의도하는바 종국적 목표 등을 명석히 분석하여 그것의 당파적 허구성을 밝히고 우리의 대응 전략을 확인 또는 보완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배경

 

 최근에 이르러 「주체사상」에 대한 비판적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대체로 이들 연구의 중심이 정치학, 경제학 부문에 모아지고 있다. 공산주의의 이론체계란 정치학, 경제학 뿐만 아니라 인문·사회·자연과학 등 광범한 학문영역에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북한의 통치 이데올로기에 대한 분석과 비판 역시 한 두 분과에 국한시켜 다룰 것이 아니라 제반 학문의 상보적인 연계 위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이제 기존의 연구결과들을 종합적으로 심화시킴은 물론 철학적 또는 원론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때이다. 그리고 본 연구의 자료는 입수가능한 1차 자료에 의거하면서 기존의 연구결과들을 포섭시키게 될 것이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입수 가능한 제 1차 자료에 의거하면서 공산주의자들의 이론과 실제간의 괴리를 밝히며 그같은 현상의 불가피성을 논구하는데 중점을 둔다. 따라서 본 연구는

① 우선적으로 문헌 및 사실(史實)에 의존하는 방법을 취하며,

② 가능한 한 현재 자연과학의 연구성과들에 의존하므로써 과학적 객관성을 견지하도록 노력하며

③ 인간 및 사회의 변화와 이들 양간의 관계에 관한 현대 인문·사회과학의 제 이론들을 원용하는 방법을 취한다.

 

연구 내용

 

(1) 연구 내용

① 마르크스주의 및 레닌주의의 철학적 기원과 정치적 목표에 대한 분석적 정리

② 공산주의 이데올로기의 일반적 구조와 기능분석

③ 북한의 통치 이데올로기로서의 「주체철학」의 형성과정에 관한 비판적 정리

④ 「주체철학」의 실제적 기능 수행 분석

⑤ 「주체철학」의 당파적 허구성 폭로

⑥ 「주체철학」이 지닌 비주체적 성격 해명

 

(2) 가설

「주체철학」은 인민의 비주체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